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울어도 울어도 안 되거든 남이 우는 데를 가보라

[서평] 최인호 시집 《바람의 길목에서(교음사)》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저 걸개에 핀 말꽃을 보아라

하늘벽에 걸린 걸개

한 그루 말꽃

 

“‘말꽃은 말에서 피어난 아름다운 꽃 또는 말로써 피워 낸 아름다운 꽃이라는 뜻으로, ‘말의 예술이라는 본디 뜻을 고스란히 담아내기에 안성맞춤인 낱말이다.” 우리말대학원장과 국어심의위원장을 지낸 국어학계의 원로 김수업 선생은 이렇게 문학을 말꽃이라 표현한다.

 

그 말꽃이 최인호 시집 바람의 길목에서(교음사)》에서 활짝 피어난다. 얼마 전 일본 교토의 김리박 시인이 울 핏줄은 진달래(도서출판 얼레빗)란 순 토박이말 시조집을 낸 바 있는데 최인호 시인 역시 순 토박이말로 시집을 내 화답한다. 토박이말만으로도 얼마든지 맛깔스러운 시, 말꽃을 피울 수 있음을 중명한다.

 

눈으로 맞는 새해

펄펄 아우성

달빛 별빛 머금은 천둥번개 가루들

 

네 집은 큰산 큰그늘

별빛 따라 어둠 따라

바람 따라 놀더니

오늘은 누항 저잣거리에서

몸을 푸는구나.“

 

시집의 시작을 그는 으로 아름답게 그리고 있다. 하동 두메에서 자연과 함께 살더니 자연과 하나 되었거니 앙칼진 아침 / 너그러운 햇살 비칠 때 / 떠나지 못하던 임이 / 떠남을 보누나 / 떠나지 못함으로 떠나감을이라며 겨울을 노래하고, “뜬눈으로 / 아침거리에 서면 / 눈길 끝나는 아침 저편 / 아우성으로 몰려오는 / 사월 / 저 시리디 시린 봄날로 봄날을 보낸다.

 

그걸로 끝낼 그가 아니다. 광화문 근방에는 두 가지 눈이 온다. / 사람이 있을 땐 잿빛으로 내리고 / 저 혼자 누웠을 땐 흰빛으로 온다 / 광화문에 내리는 눈은 잿빛이다 / 저 혼자 누워 있을 여가가 없는 거리에는 / 잿빛 눈만 온다라며 광화문 눈 내리는 풍경을 그린다. 그러면서 광화문에도 흰눈은 온다 / 그대 재 되는 것 두렵지 않을 때 / 그대 마음 비웠을 때 / 그대 눈 감았을 때 / 광화문은 이제 아무 것도 아니다 / 온누리에 펑펑 흰눈이 온다라며 마음을 비우라 한다.

 

거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간다. 그대는 여직 깜깜한 겨울잠 / 노녘은 수폭 불장난네 인공별 날리고 / 마녘은 부산포로 미제 핵고래를 끌어들였다. / 그래도 깨어나 다시 외치라 할까 / 마른갈이 기다리는 들녘 / 때이른 물갈이라도 해보자 / 캡사이신 물대포에 값싼 쌀대포로 맞서보자 / 어서 일어나시라 할까라면서 답답한 사회에 대고 잔잔한 울부짖음을 토한다.

 

마지막으로 그는 <가슴 작은 이를 위하여> 기도한다.네 가슴이 작아 / 세상을 다 울기에 터질 듯하거든 / 가슴으로만 말고 눈으로 입으로 하라 / 눈으로 입으로도 모자라거든 / 머리로 손으로 울라 / 그래도 모자라거든 가슴 작은 사람아 / 너를 떠나 남이 우는 데를 가 보라 / 네 울음과 한 가지의 울음이 / 문밖에 또한 가득 차 시위처럼 넘치고 있어라라고 말이다.

 

가슴 작은 이는 시인 자신도 되고 이웃의 우리도 될 것이다. 우리네 세상엔 울 일이 많다. 가슴으로 눈으로 입으로 울어도 안 되거든 자신을 떠나 남이 우는 데를 가봐야 한단다. 그래야만 이 몹쓸 세상을 견딜 수 있을 것이란다.

 

시인은 <뒷말>에서 시집을 낸 느낌을 말한다.바람은 마음이다. 마음은 느낌과 생각과 뜻으로 나누어 그 속살을 풀이한다. 바람은 흐름이다. 불고 일고 휩쓸고 피고 들고 잔다고 하지만 제 본디 노릇은 흐름일 뿐이다. 그러니 마음은 흐름이다. 흐름은 움직인다. 바람은 몸 안팎을 가리지 않는다. 움직임과 고요는 한 가지다. 몸과 마음이 하나인 것과 같다. 나는 아직 느낌과 생각이라는 바람 동네의 들머리에 머물고 있다.”고 푸념한다.

 

그러면서 그는 더불어 사는 이의 짐을 벗어난 이쪽에서 현실과 자연을 새롭게 가다듬는 데로 이르렀으면 좋겠다.”라고도 말한다. 새로운 마음의 길을 찾고 이웃들의 삶과 함께 할 수 있으면 다행이겠으나 아직은 그저 바람일 뿐이다.“라고 노래집을 맺는다.

 

토박이말로만 잔잔하게 그러나 또렷이 자신의 바람을 얘기하고 있는 최인호 시인 시집 바람의 길목에서(교음사)는 갈 곳을 잃고 헤매는 이 시대에 깨어있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시집임을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