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창희의 아버지를 찾는 여행

[서평] 아버지를 찾아서 ,김창희, 한울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고교 동창인 언론인 김창희가 아버지를 찾아서라는 책을 냈습니다. 2009년 가을 어느 날 창희는 집 안을 정리하다 어느 한구석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놓인 종이 상자 하나를 발견합니다. 그 상자 속에는 창희가 9살 때 돌아가신 창희 아버지께서 평생 찍은 사진필름이 롤 상태로 보관되어 있었습니다. 필름 하나 하나에 대한 설명과 함께... 창희가 어머니께 이 얘기를 하자, 어머니께서는 평생 보관하고 있던 아버지의 개인수첩 10여 권을 창희에게 보여줍니다. 이때의 심정을 창희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갑자기 지나간 시대가 눈앞으로 확 다가왔다. ‘사진과 수첩 두 가지를 맞춰보면 뭔가 그림이 그려지겠는데!’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날부터 집 안 여기저기를 뒤져보았다. 이렇게 찾아낸 자료들과 필름, 수첩까지 다 쌓아놓고 보니 꾹꾹 눌러 담아도 큰 여행용 트렁크 하나는 가득 찰 것 같았다. 잘 알지 못하던 과거로부터 빛바랜 영상들이 쏟아져 들어온 것이다.

 

이 자료들을 가지고 아버지를 기억할 만한 사람들을 찾아 그들의 증언을 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파편화된 자료와 자료 사이에는 심연이 존재한다. 그 틈새는 결국 누군가의 기억과 합리적 추론으로 메울 수밖에 없다. 그 기억을 찾아가는 여행이 결국 나의 가장 큰 과제가 될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이렇게 하여 창희의 아버지를 찾는 여행이 시작됩니다. 창희는 아버지를 찾아 아버지가 교사로 근무하였던 계룡산 밑의 논산시 노성면을 찾아가는가 하면, 자신이 태어난 통영으로 가 아버지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아버지의 평양 시절은 직접 찾아갈 수 없기에 남한에 생존해 계신 분들에게 간접적으로 이야기를 듣습니다. 이 책은 이렇게 아버지를 찾아 나선 창희가 알아낸 아버지의 이야기입니다. 책 서문에서 창희는 책을 내게 된 소회를 이야기합니다.

 

이 책은 아주 우연한 계기에 태어났다. 아버지가 남긴 상당한 분량의 필름과 문건을 발견했을 때의 놀라움과 그걸 글로 정리하지 않을 수 없다는 나름의 사명감이 그 출발점이었다.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자면, 내가 내 인생의 상당 부분을 남의 인생 따라잡기로 살아온 마당에 아버지가 이토록 많은 자료를 남겨주셨는데 그걸 정리하지 않는 것이 말이 되느냐는 자격지심이 이 책의 밑바닥에 자리 잡고 있다.”

 

창희는 특별한 클라이맥스나 반전도 있지 않는 그저 평범한 남의 아버지 이야기를 누가 재미있어 하겠냐고 하지만, 저는 책을 읽어 들어가면서 창희 아버지의 삶에, 이를 맛깔스럽게 풀어내는 창희의 이야기에 빠져들었습니다. 창희 아버님은 기록의 왕이라 하겠습니다. 자신의 삶을 꼼꼼하게 수첩에 메모하고 사진으로 담고, 뿐만 아니라 신분증, 각종 증명서, 이력서, 임명장, 편지 등 자신과 관련된 자료들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보관하였으니까요.

 

그렇기에 창희가 아버지의 삶을 소상하게 복원해 낼 수 있었던 것 아니겠습니까? 그럼 이런 기록의 왕이 일기는 안 쓰셨을까? 창희가 어머님에게 여쭈어보니 아버님이 돌아가신 후 아버님의 일기는 태워버리셨다고 하는군요. 일기가 있었다면 아버지의 은밀한 내면의 생각도 복원해 낼 수 있었을 텐데, 그 점은 많이 아쉬웠을 것 같습니다.

 

창희는 아버지의 삶이 평범한 소시민의 삶이었다고 하지만, 창희 아버지에게도 위험한 순간이 있었습니다. 6. 25 사변이 터질 당시 창희의 아버지는 폐병 치료를 위해 어머니(창희 할머니)와 함께 모자지간만 서울로 내려와 있었습니다. 6. 25. 사변이 터진 후 인공 치하의 서울에 숨어 살던 아버지는 인민군이 후퇴하기 얼마 전에 붙잡혀 북으로 끌려가게 되었습니다.

 

이를 알게 된 할머니(아버지의 어머니)가 대열을 쫒아가면서 인솔자에게 폐병장이를 끌고 가봐야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아버지를 풀어달라며 절박하게 매달립니다. 며칠간 계속 쫓아오며 매달리는 모정(母情)에 감동한 것인가요? 대열이 잠시 휴식 중일 때, 인솔자는 할머니에게 아들을 데리고 조용히 가라고 합니다. 그 때 창희의 아버지가 그대로 끌려갔다면 당연히 오늘의 창희는 있을 수가 없었겠지요.

 

창희의 아버지를 찾는 이야기는 창희 일가가 통영을 떠나 서울로 오는 장면에서 멈춥니다. 아버지는 오랜 고민 끝에 통영여중에서의 교직 생활을 마감하고 서울로 와 약대에 들어가 다시 학업을 이었고, 그리하여 졸업 후 약국을 차리고 소시민의 삶을 이어갑니다. 그렇지만 창희가 9살 때 끝내 폐병의 후유증으로 약해진 몸이 삶을 이기지 못하고 생을 마감합니다. 마지막 서울에서의 아버지 삶을 창희로서는 더 자세히 복원할 수 있었겠지만, 창희는 아버지가 결혼하고 자식을 낳는 등 삶의 주요 부분이었던 통영에서 아버지 삶의 기록을 마감하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책의 마지막은 창희 자신의 여행기입니다. 창희 아버지는 통영여중 교사로 부임하기 위하여 1953. 5. 19. 계룡산 밑의 노성명륜고등공민학교 교사를 사직합니다. 그리고 이리, 전주, 순천을 거쳐 여수로 간 다음, 여수에서 배를 타고 통영으로 갔습니다. 그런데 아직 휴전이 성립되기도 전의 혼란기라 무려 3일이나 걸려 통영에 도착하였다고 합니다. 창희는 바로 그 아버지가 가신 길을 그대로 따라 간 것이지요. 하하! 지금이라면 반나절도 안 걸려 갈 통영을 3일 걸려 가려니, 창희도 지루하였겠는데요.

 

창희의 아버지를 찾아서를 읽다보니, 문득 저도 제 아버지의 삶을 찾아가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제 아버님은 해주사범학교를 다니시다가 전쟁이 발발한 후 군에 입대하여 평양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 그러다가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전황이 북한에 불리하게 돌아가자, 훈련 도중에 서울에 투입되었다가 포탄 파편에 부상을 당하시고 포로가 되셨지요.

 

그리고 이승만 대통령이 독단적으로 반공포로 석방할 때 포로수용소에서 나오셨구요. 허나 남한에 아는 사람 하나 없는 청년이 포로수용소에서 나왔다고 갈 데가 어디 있겠습니까? 그래서 제 아버지는 군에 하사관으로 입대하셨는데, 소속된 부대가 양재동으로 오면서 거기서 제 어머니를 만나셨습니다. 그리고 저를 낳으셨고요.

 

그렇지만 저도 아버지께 아버지 삶의 큰 줄기만 들었을 뿐입니다. 앞으로 아버님이 육성으로 들려주시는 아버지의 삶을 녹음해두고 싶군요. 모르죠. 비록 제 아버지는 창희 아버지처럼 기록을 남기시지는 않았지만, 나중에 녹음기를 틀고 아버지의 육성을 듣다가 뭔가 필이 꽂히면 저도 창희처럼 아버지를 찾아서를 글로 풀어낼지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