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글 그리고 우리말

국립국어원은 아직도 일제강점기인가?

어이 없는 국립국어원의 일본말 식물 풀이, 삭과ㆍ영과ㆍ골돌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571돌 한글날을 맞아 곳곳에서 여러 행사가 열리고 있다. 그 가운데 국립국어원(원장 송철의)도 한몫하는 모양이다. 국립국어원은 오늘 109일 한글날에  ‘2017 나만의 국어사전 뜻풀이 공모시상식과 수상작 전시회를 연다고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국어사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올해는 한글학회의 큰사전완간 60주년과 국립국어원의 국민 참여형 국어사전 우리말샘개통 1주년을 기념하여 오늘날 국어사전의 의미를 주제로 진행하였다.”고 홍보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의  한글날 행사’에 대해서 흠잡고 싶은 생각은 없다.  문제는 이런 홍보성 행사 이전에 국립국어원이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의 낱말 풀이에 대한 깊은 반성을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며칠 전 아는 사람이 전북 정읍에서 열리고 있는 정읍 구절초 축제 2017’에 다녀왔다며 끝없이 펼쳐진 구절초 꽃밭 사진을 보내왔다. 보기만 해도 가을 냄새가 물씬 풍긴다. 그렇다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절초를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

     






구절초(九節草):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cm 정도이며, 9~11월에 붉은색ㆍ흰색의 꽃이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한방에서 약재로 쓴다. 산지(山地)에서 나는데 한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식물풀이에서 가장 지적하고 싶은 부분은 열매가 수과(瘦果)”로 맺는다는 부분이다. 이렇게 수과라고 써놓으면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의문스럽다.

 

그럼 다시 수과를 찾아보자.

 

수과(瘦果): 식물의 열매로 폐과(閉果)의 하나. 씨는 하나로 모양이 작고 익어도 터지지 않는다. 미나리아재비, 민들레, 해바라기 따위의 열매가 있다.”

 

수과가 어려워 찾으니 폐과(閉果)”라고 풀고 있다. 이러한 풀이는 일본 국어사전을 베껴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봉선화는 삭과(蒴果)이고, 목련은 골돌과(蓇葖果)이며, 벼는 영과(穎果)로 열매를 맺는다 식으로 풀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식물의 꽃피는 모습의 풀이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토란은 육수(肉穗) 화서로 꽃이 피며, 콩은 총상(總狀) 화서, 분꽃은 취산(聚繖) 화서, 해바라기는  두상화(頭狀花)로 꽃이 핀다고 풀이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언제까지 이런 식의 풀이를 방치하고 있을 것인가?


 



국립국어원은 전 국민이 이용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의  낱말 풀이에는 관심 없이  올해도 단순하기 짝이 없는  <국어사전> 뜻풀이 행사 같은 것으로  한글날을 얼럴뚱땅 때우고 있다.  특히 식물과 관련한 뜻풀이는 일본말 사전을 베껴 쓴 것은 물론 어렵기 짝이 없는 풀이를  방치한 채 손을 놓고 있는 것이다.


일일이 열거할 수 없지만 정말이지 식물풀이를 보고 있으면  화가난다.  한가하게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사전> 풀이 같은 것이나 하고 있어서 되겠는가 싶은 생각이다.  기자는 몇해전부터 <표준국어대사전> 식물풀이를 살피고 있지만 571돌을 맞이하는 오늘 현재도 이러한 풀이는 전혀 바뀌지 않고 있다. 제발 572돌을 맞이하는 내년에는 식물풀이를 알기쉬운 우리말 한글로 풀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어디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