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임진왜란 불타기 전 모습 그린 <경복궁도> 복원

서울역사박물관, 1년 여 보존처리 통해 원형 복원하고 최초 공개
나라안팎 알려진 경복궁도 중 유일하게 족자형태 그대로 보존된 필사본 고지도
지금은 볼 수 없는 조선전기 경복궁 건물 다수 확인… 중요한 역사적 사료 기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송인호)임진왜란으로 소실되기 이전 경복궁 내 건물(전각)들의 배치 모습을 그린 <경복궁도> 족자를 원형 복원했다. 현재까지 나라안팎에 알려진 10여 점의 경복궁도 가운데 유일하게 조선시대 족자형태 그대로 보존돼 있고, 문소전이나 충순당 같이 지금은 볼 수 없는 조선 전기 궁궐의 모습이 담겨 있어 임진왜란 이전 궁궐에 관한 기록과 그림이 드문 오늘날 중요한 역사적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16년 공개구입 후 약 1년 동안 보존처리를 끝내고 <경복궁도>7() 최초 공개한다. 경복궁은 조선 개국 직후인 1395년 창건되어 약 200년 간 조선 왕조를 상징하는 법궁으로 자리매김했으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완전히 불에 타 폐허가 되었다. 이후 역대 왕들은 창덕궁과 경희궁에 거처했고, 고종이 즉위한 이후에야 비로소 270년 만에 경복궁을 중건했다.

 

이번에 공개된 서울역사박물관 <경복궁도>(족자:세로127.6cm,가로 71.3cm, 그림:세로 102.7cm, 가로 71.3cm)는 바탕 재질이 종이이며, 쪽색 종이로 장식해 상하축을 달아 제작한 족자 형태의 필사본 고지도다.


 

경복궁 중건을 위해 임진왜란 이전의 모습을 고증하기 위해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1770년 영조가 세운 친잠비가 표시되어 있고(사진 4 참조) 고종의 경복궁 중건 이후 새로 세워진 수정전, 집옥재 등은 빠져 있는 점을 볼 때 제작시기는 18세기 말~19세기 후반 사이로 보인다.

친잠비 : 영조 43(1767)에 왕비가 경복궁 안에 친히 누에를 쳐 채상례를 행하고 정해친잠이라 이름 지었는데, 영조 46(1770) 임금이 정해친잠’ 4글자를 직접 쓰고 해당관청에서 돌에 새겨서 비를 제작

 

특히, 경복궁도 가운데 유일하게 조선시대 족자 장황이 그대로 보존돼 있어 쪽색 종이를 사용한 장황양식과 재료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근정전사정전 등 주요 전각의 이름 아래 그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나라안팎에 알려진 10여 점 내외의 경복궁도와는 차이를 보인다.

) 근정전[受朝賀之殿, 조하 의례를 받는 곳]

사정전[每日視事之殿, 날마다 정사를 돌보는 곳


 

 

2016년 공개구입,, 1년 여 보존처리 통해 제작당시 원형 복원


서울역사박물관 <경복궁도>1년여 동안의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제작된 당시의 원형으로 복원됐다.(사진 2 참조) 구입 당시 족자 오른쪽 끝부분이 없어지고, 가로방향으로 꺾임이 많이 발생되었으며, 갈색 오염물질에 의한 얼룩, 접착제 약화로 인한 들뜸 현상과 축에 사용된 나무가 휘어있는 등 긴급한 보존처리가 필요한 상태였다.(사진 1 참조)

 

회화유물의 보존처리는 물감 조사, 재질분석, 제작방법 연구 등 과학적인 조사와 분석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경복궁도에 사용되었던 종이와 나무는 닥 섬유로 제작된 종이와 헛개나무로 밝혀져서 같은 재료와 전통 접착재인 소맥전분 풀을 사용하여 없어진 부분을 복원했다. 오염된 부분은 건습식 크리닝 방법으로 제거한 결과 원래의 색으로 회복됐다. 가로꺾임이 발생한 부분은 2mm폭의 종이를 보강해 더 이상꺾임이 진행되지 않도록 피해를 예방했다.


소맥전분 풀 : 밀가루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야기하고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단백질 등을 제거한 전분만을 써서 만든 보존성이 좋고 가역성(시간을 거꾸로 되돌리면 처음의 물체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성질)이 있는 전통 접착제

 

, 보존처리 과정에서 배접지(褙接紙, 그림을 보강하기 위해 뒷면에 붙이는 종이)로 사용된 고문서 5점이 발견됐다. 이 고문서들은 분리 후 보존처리를 실시했다.(사진 5, 6 참조) 배접지로 사용된 고문서는 학습용으로 작성한 과거 답안지(시권)로 추정된다. 옛날에는 종이가 귀해서 족자의 배접지나 병풍 속틀용 종이로 고문서를 재활용해 사용한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이것은 보존처리 과정에서만 확인할 수 있으며, 배접지로 사용된 고문서들은 유물의 제작시기가 불분명할 때 시대를 역추적 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한편,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나무, 금속, 도자기, , 종이, 서화 등 연간 약 250여점의 다양한 문화재를 보존처리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원인으로 손상된 문화재에 대한 보존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2011년 류순정 영정, 2016년 군안궤, 2017년 전차381, 도기주구호 등의 보존처리를 수행해 손상된 서울 문화유산을 보존했다.

 

2011년에는 보존처리 전 6조각으로 분리된 상태로 손상된 류순정 영정을 세척과 배접 그리고 색맞춤 처리를 거친 후 전통적인 형태로 족자를 꾸며 조선시대 초상화 형태로 복원했다. 2016년 대한제국의 마지막 군대인 진위대(鎭衛隊) 군안궤(軍案櫃) 보존처리해 사용시기와 제작목적 그리고 사용처 등을 밝혔다. 2017년에는 종로2가 영동빌딩(현 육의전빌딩) 신축부지 내 건물지에서 출토된 도기 조각들을, 자료조사를 토대로 원형 복원하였으며 그 결과 도기주구호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