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부여 능안골 고분군서 백제 귀족층 매장행위 확인

굴식돌방무덤에서 주검을 붇은 뒤 파묘(破墓) 또는 이장(移葬) 했을 것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부여군(군수 권한대행 한영배)과 함께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으로 '부여 능안골 고분군(사적 제420호)‘에 대한 정밀발굴조사 결과, 백제 시대 귀족층의 무덤과 매장행위를 확인했다.

* 발굴현장: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75-10 일원

 

 

 

 

‘부여 능안골고분군’은 백제 시대 귀족의 집단묘 성격의 고분 무리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1995년과 1996년 두 차례에 걸쳐 긴급 발굴조사를 시행해 은제관모장식과 금동제이식 등 다양한 유물을 거둔 바 있는 곳이다. 올해에는 당시 조사되지 않은 북서편 지역에 대해 백제고도문화재단에서 정밀발굴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이곳에서는 모두 4기의 백제 시대 굴식돌방무덤이 확인되었다. 먼저 ▲ 1호분은 전체 묘광(墓壙) 길이가 1,270cm, 최대 깊이 420cm의 대형급 무덤이었다. 묻고 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무덤에 썼던 석재를 전부 꺼내 간 것으로 보이며, 정확히 무덤방의 입구까지 뚫어서 석재들을 빼낸 후 무덤 구덩이를 일시에 다시 메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태를 볼 때 당시에 파묘(破墓) 혹은 이장(移葬) 등의 행위가 이뤄졌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1996년에 시행한 발굴조사에도 파묘된 사례(부여 능안골 18호분・20호분・33호분・50호분)를 확인한 바 있지만, 무덤 내부에 쓴 석재를 바닥면까지 모두 꺼내간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 묘광(墓壙): 무덤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파 놓은 자리

* 파묘(破墓) : 옮기거나 고쳐 묻기 위하여 무덤을 파냄

* 이장(移葬) : 무덤을 옮겨 씀

 

 

 

 

▲ 2호분 역시 굴식돌방무덤이다. 전체 묘광 길이가 364cm, 너비 193cm, 잔존깊이 155cm로 능안골고분군 내에서 전형적인 단면 육각형 무덤 형태다. ▲ 3호분의 단면 사각형 띠는 굴식돌방무덤으로, 전체 묘광 길이가 285cm, 너비 113cm, 깊이 88cm로 능안골 고분군 내에서는 규모가 작은 편이다. 내부에서 관정과 꽃 모양 꾸미개가 붙은 관고리 1점이 나왔는데, 이러한 출토유물과 돌을 다듬은 형태 등을 보아 상당한 위계를 가진 귀족층 무덤으로 보인다. ▲ 4호분은 소형 깬돌을 반원형으로 돌려 무덤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매장주체부로 추정되는 방형의 윤곽선과 뚜껑돌 일부가 확인되었다. 앞으로 추가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 무덤방 크기: 2호분(길이 240cm, 너비 113cm, 높이 120cm)

3호분(길이 85cm, 너비 50cm, 높이 44cm)

 

이번 부여 능안골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전형적인 백제 사비기의 귀족층 무덤 양식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호분의 석재를 꺼내간 현상은 당시의 파묘 혹은 이장 행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자료로 주목된다. 앞으로 백제 부장문화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