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 기념 국가지정문화재 특별 공개

한 자리에 모인 세종대왕 관련 국보와 보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세종대왕(재위 1418-1450) 즉위 600주년(즉위일 음력 1418. 8. 11.)을 맞이하여 세종시대 문화유산의 정수를 보여주는 국가지정문화재 4건을 상설전시실 1층 중ㆍ근세관 조선실에서 9월 19일부터 12월 20일까지 특별 공개한다.

 

이번 공개 대상은 2018년 8월 국보 승격이 예고된 《봉사조선창화시권奉使朝鮮倡和詩卷》(보물 제1404호), 《비해당소상팔경시첩匪懈堂瀟湘八景詩帖》(보물 제1405호)을 비롯하여, 최근 구입한 《월인석보月印釋譜》 권20(보물 제745-11호), 《목우자수심결언해牧牛子修心訣諺解》(보물 제1848호)로 한 곳에서 만나기 어려운 귀중한 문화재들이다.

 

집현전 학사들이 꽃피운 찬란한 문화

 

국보 승격 예정인 《봉사조선창화시권》(1450년, 세종 32)과 《비해당소상팔경시첩》(1442년, 세종 24)은 세종시대 문예부흥을 이끌었던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신숙주(申叔舟, 1417-1475), 성삼문(成三問, 1418-1456), 김종서(金宗瑞, 1383-1453) 등의 친필을 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봉사조선창화시권》은 명나라 황제 경제(景帝, 재위 1449-1457)의 즉위를 알리러 온 명나라 사신 예겸(倪謙, 1415-1479)과 그를 맞이한 집현전 학사 정인지, 성삼문, 신숙주가 주고받은 시들을 모은 것이다. 조선의 문인과 명나라 사신이 문학으로 교유하며 외교를 수행한 모습이 담겨 있는 이 시문들은 한중 문학사와 외교사에 있어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비해당소상팔경시첩》은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 호 비해당)이 남송(南宋) 영종(寧宗, 재위 1194-1224)의 친필인 소상팔경시(瀟湘八景詩)를 보고 이를 주제로 집현전 학사를 중심으로 한 문인 21명(고려시대의 문인 이인로-李仁老, 진화-陳澕 포함)의 시문을 엮은 것이다. 소상팔경은 중국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부근 여덟 곳의 아름다운 경관으로, 현실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상경(理想景)으로 여겨 시문이나 그림으로 많이 나타냈다. 안평대군이 이 시문과 함께 그리게 하였던 그림 <소상팔경도>는 안견(安堅, 15세기 활동)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쉽게도 전하지 않는다.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국립중앙박물관이 2018년 7월 구입한 《월인석보》 권20(1459년, 세조 5)과 《목우자수심결언해》(1467년, 세조 13)는 세종대왕이 백성을 위해 창제한 훈민정음의 초기 모습과 사용 양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재이다.

 

 

 

 

《월인석보》는 최초의 불경 언해서로, 세조(世祖, 재위 1455-1468)가 수양대군(首陽大君) 시절 어머니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의 명복을 빌며 지은 석가의 일대기인 《석보상절釋譜詳節》(1447년)과 세종이 《석보상절》을 읽고 감탄하며 석가의 공덕을 찬송하며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1449년)을 함께 편집하여 펴낸 책이다. 《월인석보》의 글씨체는 《훈민정음》보다 실용적인 형태로 바뀌었는데, 이는 문자로서 훈민정음이 생명력을 얻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목우자수심결언해》는 고려시대 승려 보조국사 지눌(普照國師 知訥, 1158-1210)이 쓴 《목우자수심결》을 세조가 직접 토를 달고, 신미(信眉, 1403-1480)가 훈민정음으로 번역한 책이다. 마음을 닦는[修心] 문제를 간단명료하게 서술한 이 책은 선(禪)을 배우려는 사람들의 기본 필독서였다.

 

더불어 2016년 구입하여 처음 선보이는 <혼천의>(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9호)도 만날 수 있다.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혼천의는 동아시아에서 왕도정치 이념을 구현하는 상징적인 도구였다. 조선시대 혼천의는 세종대에 처음 제작된 이후 그 제도가 조선 후기까지 이어졌다. 이번에 출품하는 <혼천의>는 1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현재도 구동이 가능할 만큼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조형적으로도 매우 뛰어나 가치가 더욱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