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1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잔치 그리고 행사

15세기 농사비법서와 한글 창제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국립한글박물관 제4회 인문학 특강 연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박영국)은 11월 5일(월) 낮 3시부터 국립한글박물관 강당에서 ‘농사비법서와 한글’을 주제로 인문학 특강을 한다. 강연자는 한국학중앙연구원 글로벌한국학부 전성호 교수로, 세종의 한글 창제가 지식의 공유와 축적에 어떤 이바지를 했는지 경제학의 관점에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이다. 저서로 《세종의 서재(2016)》, 《세종의 지식경영 연구(2016)》, 《세종 리더십의 형성과 전개(2009)》 등이 있다.

 

현재 세계 각국은 씨앗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어, 총성 없는 씨앗 전쟁을 치르는 중이다. 씨앗의 중요성에 대해 ‘씨앗은 농업 문야의 반도체’라고 견준 전문가도 있다. 파프리카처럼 국내에 없는 품종의 씨앗은 값비싸게 수입되고,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고추, 토마토, 양파 등의 씨앗은 수출된다. 그러나 미국이 세계 씨앗 시장의 30%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1%도 채 되지 않는다.

 

 

놀랍게도 세종은 씨앗의 중요성을 이미 간파하고 있었다. 이번 강연은 세종이 농부에게 물어 만든 우리 농법서 《농사직설》과 강희맹의 《금양잡록》을 중심으로 세종이 종자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와 《농사직설》을 만들기까지의 과정, 농사비법서와 훈민정음 창제의 관련성 등에 대해 알아본다. 더불어 지식과 지식을 연결하는 한글의 힘을 통해 세종의 지식 경영 방법을 엿볼 예정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의 인문학 특강은 한글문화 관련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한글과 한글문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한글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널리 형성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획 프로그램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www.hangeul.go.kr)의 ‘교육ㆍ문화행사>특별 강연>인문학 특강’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사전 신청과 현장 접수를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