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생각의 정치를 편 ‘세종의 길’ 함께 걷기

세종의 생각하기, 신하들에게 전이되어

생각의 정치를 편 ‘세종의 길’ 함께 걷기 6

[우리문화신문=김광옥 명예교수] 

 

세종은 매사에 생각, 다시 생각했다

 

세종은 생각하는 임금이었다.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모습은 어떻게 기록되고 있을까? ‘생각한다’는 한자로 ‘사(思), 념(念), 유(惟, 생각할 유)’ 등으로 나타난다. 《조선왕조실록》 속의 ‘생각’은 국역으로는 모두 45,702건인데 세종은 2,920건이 된다. 세종의 비중이 많은 편이지만 그렇다고 이것으로만 ‘생각하는 임금’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

 

신하들이 상소를 올릴 때는 ‘그윽히 생각하다’[절유(竊惟)] 라는 표현을 쓴다. 더불어 ‘반복사지(反復思之)’를 쓰기도 한다. ‘절유’는 《조선왕조실록》 748건 가운데 세종 131건으로 많다. ‘절유’는 변계량의 ‘찬락천정기(撰樂天亭記)’ (세종 1/9/4)에서 쓰고 있다. ‘반복사지’는 《조선왕조실록》 모두 129건 가운데 세종조에 51건이다. 그밖에 성종 조 19건을 빼면 몇 임금에서 한 두 건일 뿐이다. 신하들도 세종의 ‘여경사지’를 닮아 몇 번이나 생각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신하들의 ‘반복사지(反復思之)’에 대해 세종도 때로는 같은 말로 시작하지만 그보다는 ‘신중한 생각’ 혹은 ‘깊은 생각’을 뜻하는 ‘나는 다시 생각하건대’는 ‘여경사지(予更思之)’를 쓴다. 이는 실록 원문 모두 79건 가운데 세종조에 38건으로 실록 전체의 반을 차지한다. 세종은 생각하는 ‘사색의 정치가’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여경사지’는 원문 모두 79건 중 세종이 무려 38건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런 풍토가 다른 임금에서는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세종조에는 임금을 따라 신하들도 생각하고, 다시 임금이 생각하여 일을 처리하는 선순환의 습관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어느 때 세종의 모습을 ‘여경사지’로 표현하고 있을 까. 여기서 세종이 ‘여경사지(予更思之)’로 생각하는 몇 예를 보자.

 

 

여경사지(予更思之), 다시 생각한다

 

․ 노 복 문 제 : 세종 7/11/29

․ 노비공 문제 : 세종 14/6/5

․ 이만주 보호 포로 가서 거느리고 올 일 : 세종 14/12/21

․ 새매 진헌 문제 : 세종 15/12/14

․ 야인 토벌 책 16조목 : 세종 19/6/19

․ 흥천사 절 문제 : 세종 21/4/19

․ 온천욕 간청 거부 : 세종 25/1/10 사

․ 임영군 집 이어 건 : 세종 31/6/18 등

 

세종이 숙고하는 일들의 내용은 말썽 피는 양녕 형님 처리 문제, 형벌, 강무, 노비, 국경 포로, 의창, 인사, 중국과의 예물, 야인 토벌책, 왜인, 흥천사 불교 문제, 온천행 병치레, 중궁의 병환문제, 가뭄 등 실로 깊이 생각하고 처리해야 할 문제들이었다. 모두가 늘 있는 일이 아닌 하나같이 중대한 일인 것을 볼 수 있다. 하나의 예만 더 보자.

 

여경사지(予更思之) : 내 온천 목욕을 세 번이나 하였어도 별로 신통한 효과가 없었소. ...나의 병은 하늘이 준 것이니 온천이 어찌 능히 내 병을 고치겠소. 항상 생각하기를, 앞으로는 성문 밖을 나가지 아니하여 남에게 속는 것을 피하고 ‘천명(天命)을 기다리려 하오. 내 뜻은 이미 정해져 있으나 대신들이 힘써 청하니, 내 다시 생각하겠소.(予更思之).’ (세종 25/1/10)

 

이는 피할 수 없는 병과 죽음에 대하여 생각하는 절실한 경우다. 이밖에도 ‘깊이 생각한다’는 표현은 더 있다. 여경사지의 유사어로는 ‘고지반복(考之反覆)’, ‘반복사지(反復思之)’, ‘중념(重念)’, ‘상념(想念)’ 등이 있다.

 

 

대신들이 계속해서 양녕 대군을 출입시키지 말 것을 청했으나 ... ‘다시는 아뢰지 말라고 명하기까지 하시니, 신 등은 되새기고 되새기어 생각해 보아도(臣等 반복사지-反復思之) 그 옳음을 알지 못하겠나이다.’ (세종 9/5/11)

 

사람들의 어질고 어질지 못한 것에 대하여 매우 자세히 살피고 되풀이하여 상고(고지반복-考之反覆) 뒤에 나도 다시 살펴서 선택하겠다.(세종 5/11/25)

 

자세히 살피고 되풀이하여 생각한 뒤에 결정하는 원칙은 관행이 되어 신하들에게 전이되고 신하들도 거듭 생각하는 버릇을 갖게 된다. 일종의 거울효과 (mirror effect)를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