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함안 고분 돌덧널에 별자리 새겨진 덮개돌 첫 발견

함안 아라가야 추정왕성터에서 건물터 여럿 발굴
발굴 현장설명회 / 12.18.(화) 낮 1시(아라가야 추정왕성지) - 2시(말이산 고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이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가야문화권 조사ㆍ연구 정비 사업」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경남 함안 아라가야 추정왕성지와 함안 말이산 고분 13호분 발굴조사에서 가야문화권에 대한 유의미한 조사 성과가 확인되었다.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사적 제515호) 13호분에서 별자리 덮개돌 첫 발견

 

함안군(군수 조근제)과 함께 (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원장 배덕환)이 조사 중인 함안 말이산 고분(사적 515호) 13호분에서는 붉은 안료를 바른 구덩식 돌덧널무덤의 벽면과 125개의 별자리가 새겨진 덮개돌이 확인되었다.

* 발굴 현장: 경남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 936번지 일원

 

 

 

말이산 13호분은 말이산 주능선(길이 1.9㎞) 중앙지점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며 봉분 규모가 지름 40.1m, 높이 7.5m에 달하는 아라가야 최대급 고분이다. 이번 발굴조사는 일제강점기인 1918년 야쓰이 세이이쓰(谷井濟一)에 의해 유물 수습정도로 조사된 이후 100년 만에 실시된 것이다.

 

돌덧널 내부의 붉은 안료는 네 개의 벽면 전체에 발려 있는데, 벽면을 점토로 바르고 그 위에 붉은 물감으로 칠한 것이다. 붉은 눌감을 입힌 고분은 돌방무덤에서 주로 확인되며, 가야지역에서는 돌방무덤인 송학동 1B-1호분(경남 고성군)에서 확인된 사례가 있으나, 시기적으로 앞서는 돌덧널무덤에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돌덧널은 길이 9.1m, 폭 2.1m, 높이 1.8m의 최대급 규모로 몰래 파헤친 굴에서 거둔 유물의 연대로 보아 5세기 후반대에 축조된 것으로 짐작되며, 앞으로의 가야사 연구에 상징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별자리는 돌덧널을 덮은 덮개돌 아랫면에 125개가 새겨져 있는데, 크기와 깊이는 각각 다르다. 서로 다른 별자리의 크기는 별의 밝기를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별자리가 새겨진 면을 주인공이 안치되는 돌덧널 중앙부에 배치한 것을 보면 무덤 축조 당시 일부러 새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별자리는 청동기 시대 암각화에서 주로 확인되는데, 무덤에 별자리를 표현한 경우로는 고구려 고분벽화가 있다. 별자리가 표현된 위치를 보면 고분의 덮개돌 윗면에 드물게 있었으나, 돌덧널 안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가야무덤에서 발견된 사례 역시 처음이다. 옛 아라가야인들의 천문 사상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별자리는 현재 전갈자리, 궁수자리 확인

 

경남 함안 아라가야 추정왕성터에서 건물터 14동 확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삼기)가 지난 6월 처음 확인한 아라가야 추정왕성지를 추가 발굴 조사한 결과, 망루ㆍ창고ㆍ고상건물ㆍ수혈(竪穴, 구덩이)건물, 집수지 등, 군사시설로 보이는 건물터가 여럿 발견되었다. 또한, 목책의 둘레와 설치 깊이, 토성벽 축조기법과 관련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왕성의 내부 공간구조와 가야 토성의 축조기법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발굴현장: 경남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289번지

* 고상건물: 바닥을 땅 위나 물 위에 높게 설치한 건물

 

 

 

 

 

 

현재 확인된 건물터는 모두 14동으로, 수혈건물터 12동과 고상건물터 2동이다. 중앙에 빈터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분포하고 있어 왕성 내부의 공간배치에 대한 의도적인 기획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건물지 가운데는 부뚜막이 설치된 것이 있는데, 특히, 10호 건물터는 판석(板石, 쪼갠 돌)을 세워 긴네모꼴의 정교한 건물터를 조성하고, 길이 약 5m의 부뚜막을 설치하였다. 이것은 가야지역에서 처음 확인된 구조로, 고고학뿐만 아니라 고대 건축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7호 건물터는 길이 8×6m의 대형건물터로 안에서 다수의 쇠화살촉(철촉, 鐵鏃)과 작은 칼(소도자, 小刀子), 말발걸이(등자, 鐙子) 등이 발견되었는데, 조리시설이 없는 것으로 보아 창고로 추정된다.

 

 

 

 

이밖에 다른 수혈건물지에서도 쇠화살촉과 쇠도끼(철부, 鐵斧), 비늘갑옷(찰갑, 札甲) 조각, 토기받침(기대, 器臺) 조각, 기호가 새겨진 손잡이잔(파수부배, 把手附杯) 등, 일반적인 집자리나 건물터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유물들이 여럿 발견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수혈건물터들은 철제무구로 무장한 군사집단이 왕성을 방어하기 위해 상시적으로 거주하였던 시설로 추정된다.

 

고상건물터는 망루와 대형건물터가 발견되었다. 망루(望樓)는 규모 4.5×4.5m이며, 기둥구멍의 지름과 깊이가 약 1m인 점으로 보아, 상당한 높이의 시설로 추정된다. 대형의 고상건물터는 규모 약 30×6m로, 지금까지 알려진 가야지역 고상건물터 가운데서는 상당히 큰 규모다.

* 망루(望樓): 높은 장소에서 사방을 살펴볼 수 있도록 설치한 건물

 

이처럼, 토성 안에서 일반적인 생활유적에서 확인되지 않는 병장기류와 건물터가 다수 확인된 점으로 보아, 왕성터 안에는 군사집단이 상주하였으며, 이곳은 일반인들이 사는 곳과는 다른 공간이엇음을 알 수 있다.

 

문화재청은 가야문화의 실체 규명을 위하여 기초연구, 발굴조사, 유적 정비, 문화재 지정과 세계유산 등재 등 기반 조성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내년부터는 지금까지의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번에 조사한 유구와 출토유물을 공개하는 현장설명회를 18일 2회(아라가야 추정왕성지 낮 1시, 말이산 고분 낮 2시)에 걸쳐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