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엄마가 들려준 엄마의 이야기

“아버지 보고 계십니까?”

엄마의 눈물 네 번째, 엄마의 회갑날
[엄마가 들려준 엄마의 이야기 22]

[우리문화신문=김영자 작가]  음력 2월이었다. 겨울 나그네가 마지막 추위를 걷어안고 막 떠나갈 준비를 하는 쌀쌀한 날이었단다. 밖은 추웠어도 우리집에선 행복의 꽃 웃음꽃들이 만발하게 피어 있는 따뜻한 봄날이었지.

 

엄마의 회갑날이었단다. 전날부터 우리집엔 외지 친척들이 모여들어 큰형님과 큰언니는 가마목에서 개미처럼 맴돌아 쳤단다. 친척들은 30㎡도 채 안 되는 온돌집에서 엄마 주위에 모여 앉아 옛이야기에 웃음꽃을 피우시면서 밤가는 줄 모르셨단다. 그 시절엔 지금처럼 큰 식당에서 음식상 받고 정중한 마이크 소리도 없이 집의 온돌방에서 회갑잔치를 치를 때였지. 집에서 손수 만드신 음식도 나누어 먹고 축복은 하였어도 돈을 안고 다니지도 않았으며 간단한 예물로 인사를 표시하였단다. 그러나 저마다의 행복한 모습, 사랑으로 보내는 미소들은 온 집안을 눈부시게 하였지.

 

하얗게 회칠한 깨끗한 벽에는 고운 벽보(그때는 햇대보라고 불렀단다.)로 병풍을 대체했고 다른 한 벽에는 모 주석 초상화가 정중히 걸려 있었단다. 엄마는 고운한복 차림하고 호랑탄자 위에 꽃방석을 깔고 앉으시었다. 아버지 없는 빈자리라구 회갑 안 세겠다는 것을 큰언니 큰오빠가 토론하여 결정하셨단다. 네 자식들은 모두 “아버지 몫까지 담당해 내신 어머님, 어머님 덕분에 우리 가문이 살았고 자식들이 출세하여 나라를 위해 좋은 일들을 하고 있는데 어머님 공로를 치하하는 행사를 치러야한다”고 하였단다.

 

드디어 행사가 집행되었지. 친척 어르신님의 사회로 우리 네 자식들이 마련한 정성이 가득 배인 “효성의 환갑상”이 올랐단다. 록음기도 없는 시절이었는데 누군가의 노랫소리에 한바탕 춤판이 벌어졌으니 동네분들도 문밖에서 발뒤꿈치 쳐들고 집안을 구경하시었단다. 여름인양 문은 아예 확 열어젖혔었지. 첫 순서로 큰아들과 며느리가 함께 철철 넘는 술잔을 올렸다. 바로 이때였단다. 엄마는 갑자기 일어나시면서 “아니, 좀 기다리오.” 하고 큰 아들을 향하여 말하곤 자기가 손수 술 한 잔을 부어 들고 모택동 주석의 초상화 앞으로 가시더구나. 모두가 어리둥절해 있었단다.

 

나도 속으로 “문화대혁명이 지난지도 15년 가까워 오는데 웬 인사인가?” 하는데 엄마는 엄마대로 먼저 큰절 올리고 다시 술잔을 쳐들고 말씀하시더라. “어르신님, 어르신님께서는 나라를 구하고 우리집을 살려 주셨습니다. 당의 덕분에 토지도 분배 받았고 호조조도 꾸려주어 남편 잃은 나도 살길이 열렸습니다. 당과 정부의 관심이 없었다면 우리집 오늘이 없었을 것입니다. 이젠 애들도 모두 떳떳한 대학생들입니다.

 

오늘 이 첫잔은 주석님께 올립니다. 여러분 지나온 옛 일들을 회억하면 정말 눈물겹습니다. 내가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요?” 하시면서 눈물을 왈칵 토하시었단다. 또 큰언니가 덩달아 “아버지는 보고 계십니까? 엄마의 지난 고생 어찌 한입으로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하면서 우는 바람에 축하연회가 마치 초상집 같이 손님들 모두가 눈곱을 적시었다. 우리 형제들은 또 엄마 손잡고 옛 고향마을 뒷산에서 호미 들고 이야기 조각들을 파내었단다…….

 

 

시간이 흘러 내가 엄마의 눈물을 닦아 드렸고 큰오빠가 큰절과 함께 엄마에게 축배를 올렸고 잇달아 모두가 “오래오래 행복하기”를 기원하셨단다.

 

오늘 엄마의 눈물은 추억의 눈물, 기쁨의 눈물, 감사의 눈물이었지. 70여성상 엄마가 가슴속에서 떨구신 그 눈물은 또 얼마였을까?

 

여섯 살에 아버지의 쪽지게에 앉아 한 많은 두만강을 건너던 두려움에 울던 눈물까지 엄마의 그 피눈물은 아마도 시냇물로 강물로 되어 저 검푸른 두만강에 흘러 들었을 것이다. 하기에 오늘도 두만강은 하나하나의 눈물겨운 옛이야기들을 싣고 흐르고 흐르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