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미세먼지 사이에서, 사진의 고민과 쓰임

한기애 사진전 <미세먼지>, 3월 24일부터 류가헌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여기, 한 장의 사진이 있다. 마치 찍고자 하는 피사체의 특정 부분만 초점을 맞춘 것처럼 일부는 선명하고 나머지는 희부연 하다. ‘북한산’ 사진을 예로 보자면, 최고봉인 보현봉이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무성한 초록 숲에 뒤덮여 솟았지만, 양옆으로 흐르는 산등성이들과 산 아래 마을은 잿빛에 가려져 겨우 형체를 알아볼 수 있는 정도다. ‘광화문’의 경우는, 유명한 유적지나 건물의 개ㆍ보수 현장 앞에 사진 가림막을 세우고 다시 사진으로 담아낸 형식을 연상시킨다.

 

 

 

사진가 한기애의 사진 시리즈의 제목은 이 작업을 이해하는 열쇠말 <미세먼지> 곧 ‘Fine Dust’다. 작가는 같은 대상 혹은 장소를 미세먼지가 거의 없는 맑은 날과 미세먼지가 심하게 덮인 날을 선택해서, 같은 위치에서 같은 형식으로 촬영하였다. 이후 미세먼지로 뒤덮인 장면을 배경으로 두고 그 위에 맑게 갠 날을 부분적으로 겹치는 형식으로 마무리했다.

 

‘마무리했다’라는 표현을 썼지만, <미세먼지>는 사진 그 자체로서 마무리되기 위한 사진이 아니다. 작가는 이 사진들이 산업시대의 기록으로서뿐만 아니라, 환경변화에 대한 위기를 공감하고 행동변화를 이끄는 ‘쓰임’이기를 바란다. 작가가 정통적인 사진의 화법을 탈피해서 두 장의 사진을 겹치게 표현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 그 이유다. 작가의 의도를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표현방식이라 여긴 것이다. 산업 환경에 의한 지구생태계의 변화를 사진이라는 시각언어로 문제를 제기한 국내 작업이 드문 현실에서, 한기애의 <미세먼지>는 주목할 만한 작업이다.

 

대척점에 있는 두 개의 사진이 한 장의 <미세먼지>를 이룬 것처럼, 영어 제목인 Fine Dust가 서로 대립각을 이루는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은 절묘하다. Fine은 Dust와 함께 쓰이면 ‘미세’로 해석되지만, 그 자체로는 ‘좋은’ ‘맑게 갠’ 날을 뜻하기 때문이다. 같은 장소의 ‘맑게 갠’ 풍경과 ‘미세먼지가 낀’ 풍경이 한 장의 사진 안에서 극명한 대비를 보임으로써, <미세먼지>는 오늘날 우리가 처한 상황을 명약관화하게 드러내 보인다.

 

 

 

특히 서울 광화문, 북한산, 올림픽공원 조각상, 잠실 롯데타워, 서산 간월암 등 사진 속의 장소들은 모두 명승지로 알려져 있거나 상징물이 있는 곳들이다. 우리들의 일상 속에 매우 익숙하게 자리하거나 아름다운 풍경으로 기억되는 장소들이 미세먼지에 점령당한 모습은 미세먼지농도 높은 날의 대기처럼 보는 이를 갑갑하게 하며 ‘우리가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지’를 생각게 한다.

 

앞으로도 <미세먼지>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인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현재의 대기오염이 과거의 일이 되길 바란다. 그리하여 나의 작업이 이 시대의 지표이자 흔적으로서 남길 바란다.”라고.

 

문의 : 72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