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300년 전 옛그림에 물질하는 해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575]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2016년 ‘제주 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올랐고, 2017년 5월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수심 10m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소라ㆍ전복ㆍ미역ㆍ톳ㆍ우뭇가사리 등을 채취하며,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기도 하는 해녀는 전 세계에서 제주와 울릉도, 일본 일부 지역에만 있다고 하지요. 이 해녀를 옛날에는 잠녀(潛女) 혹은 잠수(潛嫂)라 했는데 300년 전인 1702년의 그림에 잠녀의 모습이 있습니다.

 

 

국립제주박물관에 가면 1702년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이 화공 김남길(金南吉)을 시켜 그린 기록화첩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보물 제652-6호)>가 있는데 18세기 초 제주의 삶과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여기에 수록된 그림 41면 가운데 제주 용연에서의 뱃놀이 모습을 그린 ‘병담범주(屛潭泛舟)’라는 그림에 바로 잠녀의 모습이 보입니다.

 

이 ‘병담범주’의 가운데 오른쪽 부분을 확대해서 보면 용두(龍頭, 용두암)라는 글자가 선명하고, 그 옆에 잠녀(潛女)라는 한자도 쓰여 있습니다. 여기서 잠녀 다섯 5명이 테왁이라는 도구를 물 위에 띄워놓고 물질하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그려졌습니다. ‘태왁’이란 ‘태왁박새기’라고도 하는데 해녀가 바다에서 물질할 때 몸을 의지하여 쉬기도 하고, 물질하는 위치를 알려주기도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녀의 물질은 300년 전의 기록에도 보이는 제주의 분명한 무형문화유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