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설날은 낯설고, 삼가는 날

[세시풍속의 보물창고 명절 1]

[그린경제=김영조 문화전문기자] 1) 설의 말밑(어원) 

   
▲ 여수 향일암에서의 설날 해돋이 모습
섧다: 이수광의 여지승람(輿地勝覽)에 설날을 '달도일(怛忉日)'이라 했다한 해가 지남으로써 점차 늙어 가는 처지를 서글퍼하는 말이다.
사리다'[, 삼가다]'`' : 신일(愼日) 삼가고 조심하는 '  곧 몸과 마음을 바짝 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를 시작하라는 뜻으로 본다.
설다, 낯설다'' : 설은 새해라는 정신적문화적 의미의 낯 설은 날'
연세설(年歲說) : 나이를 말하는 말, 몇 살()‘ 하는 ''에서 비롯. 산스크리트어는 해가 바뀌는 연세(年歲)''이라 하는데 이 ''''로 바뀌었다
서다: 한 해를 새로이 세운다는 뜻
 

2) 설날 세시풍습과 세배하는 법

설날과 관련된 말 : 차례', ‘설빔' ,‘세배’, ‘세찬(떡국)', ’세주(초백주, 도소주)'
경북 영일, 안동 지방에서는 이 날 눈이나 비가 와서 질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속담에 '설은 질어야 하고, 보름은 말라야 한다.' 하였다. 집안마다 차례가 끝나면 마을 어른들을 찾아뵙고 새해인사를 하고 덕담을 나누는 풍습도 남아 있다.

문안비(問安婢) : 사돈 간 부인들이 새해 문안을 드리려 보내는 하녀
청참(聽讖) : 설날 꼭두새벽 거리에 나가 맨 처음 들려오는 소리로 한 해의 길흉을 점치는 것.
오행점(五行占) : 장기짝같이 만든 나무토막에 오행인 금····토를 새긴 다음 이것을 던져서 점괘를 얻어 새해의 신수를 보는 것.
원일소발(元日燒髮): 남녀가 한 해 동안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빗상자 속에 넣었다가 설날, 해가 어스름해지기를 기다려 문밖에서 태움으로써 나쁜 병을 물리치는 풍습

   
▲ 섣달그믐밤의 양괭이귀신
야광귀(夜光鬼, 양괭이): 양괭이는 설날 밤, 사람들의 집에 내려와 아이들의 신을 두루 신어보고 발에 맞으면 신고 가버리는데, 그 신의 주인은 불길한 일이 일어난다고 믿었다. 그래서 아이들은 이 귀신을 두려워하여 신을 감추거나 뒤집어놓고 잠을 잤다. 그리고 채를 마루 벽이나 장대에 걸어 두었다. 그것은 야광귀가 와서 아이들의 신을 훔칠 생각을 잊고 채의 구멍이 신기하여 세고 있다가 닭이 울면 도망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해지킴(守歲)’: 섣달 그믐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했으며, 아이들이 졸음을 이기지 못하여 잠들면 잠든 아이들의 눈썹에 떡가루를 발라 놀려주었다. 이것은 설맞이 준비가 바쁘니 이 한밤은 잠자지 말고 일해야 한다는 데서 생긴 말로 보인다.
복조리 걸기 : 섣달 그믐날 밤에 쌀을 이는 조리를 새로 만들어 복조리라 하여 붉은 실을 꿰매어 부엌에 걸어 두는 풍습. 한  해 동안 많은 쌀을 일 수 있을 만큼 풍년이 들라는 뜻이 담겨 있다. 새해부터 정월대보름까지 "복조리 사려!"를 외치며 다녔다. 복조리를 부뚜막이나 벽에 걸어두고 한 해의 복이 가득 들어오기를 빌었다.

그밖에 설날의 대표적인 놀이는 윷놀이와 널뛰기, 연날리기, 썰매타기, 팽이치기, 바람개비놀이, 쥐불놀이 등이 있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여서 하는 놀이로 풍물굿이 어느 지방에서나 행해졌으며, 지신밟기, 석전(石戰), 동채싸움(차전놀이), 나무쇠싸움, 횃불싸움, 달불놀이, 달집사르기 등이 있었다.
 

   
 

3) 첨세병과 도소주, 날의 명절음식 

떡국은 꿩고기를 넣고 끓이는 것이 제격이지만 꿩고기가 없는 경우에는 닭고기를 넣고 끓였다.(꿩 대신 닭) 설을 쇨 때 반드시 떡국을 먹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사람들은 떡국에 나이를 더 먹는 떡이란 뜻의 '첨세병(添歲餠)'이라는 별명까지 붙이기도 하였다.

설날에 술을 마시는데 설술은 데우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주불온(歲酒不溫)'이라 하여 찬술을 한 잔씩 마셨다. 이것은 옛사람들이 정초부터 봄이 든다고 보았기 때문에 봄을 맞으며 일할 준비를 해야 한다는 뜻에서 생긴 풍습이다. 또 설에는 도소주(屠蘇酒)를 마셨는데 이 술은 오랜 옛날부터 전해져 오는 술이다. 도소주는 육계, 산초, 흰삽주뿌리, 도라지, 방풍 등 여러 가지 한약재를 넣어서 만든 술이다. 그러므로 이 술을 마시면 모든 병이 생기지 않는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