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아니라 ‘삶꽃’이다!

2023.03.09 12:39:12

김두루한 배움이야기 1

[우리문화신문=김두루한 참배움연구소장]  

 

대한민국에서 온 나라임자(국민)들이 참삶을 누리려면 무엇을 혁신해야 할까? 《배움혁명-교육/학습에서 배움으로》(2020, 참배움)에서 교육/학습을 벗어나 배움으로 관점과 체제를 대전환해야 함을 밝힌 김두루한 참배움연구소장이 <배움이야기> 이어싣기를 시작한다. 이 이어싣기는 배움임자(주권자)로서 저마다 참삶을 제대로 누리려면 배움이 바탕임을 일깨우는 값진 배움터가 될 것이다. (편집자말)

 

문화란 삶을 누리며 살아가는 온갖 것을 싸안는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문화’를 다음과 같이 풀이했다.

 

“문화는 한 사회의 개인이나 인간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적ㆍ정신적 과정의 산물이다. 서양에서 문화는 경작ㆍ재배 등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는데, 정치나 경제, 법과 제도, 문학과 예술, 도덕, 종교, 풍속 등 인간의 모든 산물이 포함되며, 인간 집단의 생활양식과 상징체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서는 ‘문화’란 말을 “인간이 환경과 상호 작용하면서 형성한 의식주, 풍습, 종교, 언어 등의 생활양식”(통합사회, 197쪽, 비상교육)이라고 풀이 했다.

 

위 둘 풀이가 다 공통으로 생활양식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실제로 ‘문화’는 오늘날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 우리가 만나는 ‘문화’는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일보’, ‘병영문화’ 등에서 보듯이 널리 쓰이며 먹고 입고 자는 것을 비롯한 도덕이나 종교를 넣어 우리가 삶을 누리며 살아가는 온갖 양식을 뜻한다.

 

문화는 담론에 따라 교양으로서의 문화, 진보로서의 문화, 예술과 정신적 산물로서의 문화, 상징체계 혹은 생활양식으로서의 문화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된다. 문화의 본질적 기능은 사회의 재생산이며 긴 기간을 통해 변동해 가는 특징이 있다.

 

문화란 서양말 ‘쿨투르(kultur)’를 뒤쳐(번역) 쓴 일본말이다. 김정운이 쓴 《에디톨로지-창조는 편집이다(21세기북스)》에 따르면 유럽에서 근대 문명이 피어난 것을 닮고자 후쿠자와 유키치가 ‘문명개화론(文明開化論)’을 말했는데 이를 줄여 쓴 것이 ‘문화’고 우리가 그대로 빌려 써 온 것이다.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문화(文化)’란 일본말을 꼭 빌려서 써야 할까? 한국 사람들이 누구든 ‘문화’가 무슨 뜻을 지닌 낱말인지 바로 알지 못한 채 그저 버릇처럼 쓰고 있다. 만일 ‘문화’를 버리고 새말을 만들어 쓴다면 어떨까?

 

우리말대학원장을 지냈던 고 김수업 선생은 《우리말은 서럽다(지식산업사)》란 책에서 이미 ‘문학(文學)’이란 일본말을 갈음하여 ‘말의 예술’이라는 본디 뜻을 고스란히 담아내기에 안성맞춤인 ‘말꽃’을 찾아낸 일이 있다.

 

 

 

‘말꽃’은 말에서 피어난 아름다운 꽃 또는 말로써 피워 낸 아름다운 꽃이라는 뜻이다. 아직도 ‘한국문학’이라 말하는 이가 대부분이고 ‘배달말꽃’은 새로 태어나 낯설지만, 이미 ‘이야기꽃’이나 ‘웃음꽃’같이 정다운 말들이 쓰이듯 처음 듣는 이도 이내 입에 올릴 만한 말이 아닌가? 문학이 학문도 아니기에 ‘말꽃’은 우리가 하기에 따라서 널리 자리 잡을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고 김수업 선생은 ‘예술’을 ‘삶으로 피워 낸 꽃’이라 했다. ‘예술’에 담아서 주고받는 뜻이 ‘온갖 사람이 갖가지 삶에서 겪고 맛보고 느끼는 바를 갖가지 길로 아름답게 드러내는 노릇’이라고 본 것이다.

 

‘온갖 사람이 갖가지 삶에서 겪고 맛보고 느끼는 것’과 ‘그렇게 느끼는 바를 갖가지 길로 아름답게 드러내는 노릇’은 다르다. 그래서 ‘예술’을 갈음하는 말로는 ‘아름꽃’이 어떨까? 춤(무용)은 몸으로, 말꽃(문학)은 말로, 소리(음악)는 목소리나 악기로, 그림(미술)은 물감과 붓으로 삶에서 겪고 맛본 느낌을 아름답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일본말 대신 ‘문화’를 한말 ‘삶꽃’으로 갈음하자!

 

‘예술’을 ‘삶으로 피워 낸 아름꽃’이라 여겨 ‘아름꽃’이라 하면 ‘지성’은 슬기꽃이라 할 것이다. ‘문화’처럼 삶을 일구면서 살아가고 살아내는 삶을 누리는 모습은 겨레텃말로 ‘일굼꽃’이나 ‘삶누림꽃’이라 할 것이다. 이를 줄이면 ‘삶꽃’, ‘일굼꽃’, ‘누림꽃’이 된다. 따라서 ‘문화’란 일본말을 ‘삶꽃’으로 갈음하면 어떨까?

 

 

날마다 살아가고 살려내는 길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느끼고 생각하며 묻고 따지며 풀어내게 된다. ‘문화’가 ‘생활양식’으로 남아 무늬를 남길 때 우리는 ‘삶을 일군 자취’나 ‘삶의 무늬’로서 ‘꽃’을 떠올리며 곧 ‘삶꽃’을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다.

 

 

< 글쓴이 김두루한 소장 >

 

<참배움연구소>에서 참배움과 온배움, 늘배움의 배움학을 함께 갈닦는다. 《배움혁명》(2020), 《누리자!배움!》(2022)에 이어 《배움사회》(2023)를 펴냈으며 헌법 제31조 ‘교육받을 권리’를 ‘배움 누릴 권리’로 바꾸는 배움판갈이(배움혁명)로 대한민국을 혁신하여 교육/학습사회 체제를 벗어나 ‘배움사회’ 체제를 이루어 참삶을 바라는 연구를 한다.

 

 

 

 

김두루한 참배움연구소장 duruhan@naver.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