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삼강나루 주막」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 등록 2025.09.29 12:19:23
크게보기

나루터 배경으로 100년 이상 운영된 주막
나루와 주막의 민속ㆍ역사성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생활유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에 있는 「예천 삼강나루 주막」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예천 삼강나루 주막」은 낙동강(洛東江), 금천(錦川), 내성천(乃城川)이 모이는 곳에 있는 나루터를 배경으로 1900년경부터 2005년까지 100년 이상 주막으로 운영되어 온 역사적 값어치를 지니고 있다.

 

갑술년(1934년) 대홍수에도 소실되지 않고 큰 변형 없이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정면 2칸, 측면 2칸 규모의 초가집이다. 주막의 주인이 거처하는 주모방과 접객을 위한 독립된 방이 각 1칸씩이고, 뒤쪽으로 부엌 1칸과 마루 1칸을 둔 전(田)자형 평면으로, 연결동선을 최소화하여 접객의 기능에 충실한 집약적인 공간구성을 이룬다. 또한, 부엌 내 부뚜막에서 각 방으로 연결되는 아궁이가 따로 연결, 독립된 구들난방 형식을 갖고 있다.

 

 

 

주모방에서 출입가능한 부엌 위쪽 다락에는 홍수나 화재의 화를 면하고 주막의 무탈을 기원하는 성주단지가 있어 가신신앙의 모습을 보여준다. 부엌 내부 흙벽에는 외상 처리 표시를 위해 그은 작대기선 원형이 잘 남아있는데, 이는 주막 유산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매우 희소성 있는 자료다.

* 성주단지: 집의 건물을 수호하는 가신(家神)을 모신 단지

 

 

 

 

나루에서 연결되는 마을의 입구에 있는 주막과 함께, 제방에는 동제가 치러지는 동신목과 남근석이 있어 주막의 역사문화경관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130년 동안 이어져 온 동제의 역사를 기록한 《동신계책(洞神契冊)》 문서를 통해 민속유산으로서의 지속성과 연속성도 확인된다. 특히, 동제 때 삼강나루를 위한 ‘강신(江神)’과 삼강주막을 위한 ‘주막수호신’에게 소지(燒紙)를 올린 것으로 확인되며, 마을에서 ‘삼강도선계(三江渡船契)’를 결성해 운영한 문서도 보존되어 있는 등 나루와 주막의 역사와 민속을 총체적으로 재구성하여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높은 값어치를 지녔다.

* 동제(洞祭):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

* 동신목(洞神木):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지켜준다고 여기어 옛날부터 마을 사람들이 신격화하여 보호해 온 나무

* 남근석(男根石): 민간에서 숭배 대상으로 전승되어 온 성기 모양의 돌

* 소지(燒紙): 부정(不淨)을 없애고 신에게 소원을 빌려고 흰 종이를 태워 하늘로 올리는 일

* 삼강도선계(三江渡船契): 배를 이용하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사공이 떠난 뒤 1972년부터 나룻배를 직접 운영하기 위하여 마을에서 결성한 계

 

국가유산청은 「예천 삼강나루 주막」에 대해 30일 동안의 예고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