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떼구름

  • 등록 2025.10.22 11:48:04
크게보기

하늘을 가득 메운 구름 물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해가 나긴 했지만 하늘엔 구름이 있습니다. 다른 곳에는 비가 오기도 할 거라고 하더라구요. 이렇게 날마다 다른 그림을 그려내는 하늘을 보며 마음에 쉼을 얻곤 합니다. 구름이 한두 조각 떠다니지만, 또 어떤 날은 크고 작은 구름이 한데 뭉쳐 큰 무리를 이루며 하늘을 덮을 듯 밀려올 때가 있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처럼 커다란 구름 모습을 나타내는 '떼구름'입니다.

'떼구름'은 '떼'와 '구름'이 만난 말입니다. '떼'는 '무리'를 뜻하는 아주 살가운 우리말이지요. '양 떼', '오리 떼', '개미 떼'처럼 여럿이 모여 무리를 이룬 모습을 가리킬 때 씁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떼를 이룬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커다랗게 무리 지어 있는 구름. 또는 무리 지어 모여드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가지 풀이를 아울러 보면, '떼구름'은 낱낱이 흩어져 있지 않고 여럿이 한데 뭉쳐 있거나, 마치 큰 물결처럼 한꺼번에 몰려드는 구름 무리를 일컫는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먹구름'이나 '비구름'이라고 부르는 구름들이 하늘을 뒤덮을 때, 그 모양새가 바로 '떼구름'인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떼구름'은 구름의 빛깔(검은지 흰지)이나 구실(비를 내릴지 말지)보다는, '여럿이 똘똘 뭉쳐 있는 모양새' 에 마음을 둔 말이랍니다. 

 

이 멋진 말은 우리 옛글에도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조선 시대의 큰 문장가였던 송강 정철 선생이 지은 가사 '성산별곡'에 나오는 한 대목입니다.

 

공산(空山)에 쌓인 잎을 삭풍(朔風)이 거두 불어 떼구름 거느리고 눈조차 몰아오니

 

겨울바람이 구름을 하나씩 데려오는 것이 아니라, '떼구름'을 '거느리고' 몰려온다는 대목에서 엄청나게 큰 겨울 하늘의 힘이 느껴지지 않으시나요? 흩어진 구름이 아닌, 하늘 한쪽을 가득 메운 구름의 무리가 그림처럼 그려집니다.

 

나날살이에서는 이렇게 써보세요. '떼구름'은 우리 눈앞의 하늘을 나타낼 때 아주 알맞게 쓸 수 있습니다.

 

갑자기 떼구름이 몰려와요. 비가 오려나 봐요!

하늘 좀 봐. 꼭 양 떼가 몰려가는 것처럼 하얀 떼구름이 정말 멋지다.

저녁노을이 붉게 물드는데, 그 위로 시커먼 떼구름이 흘러가는 모습이 어찌나 무섭고도 아름답던지 몰라.

 

그저 '구름 많다'고 하기에는 아쉬운 날이 있습니다. 커다란 구름이 무리 지어 하늘을 채우거나, 큰 힘으로 밀려오는 듯한 모습을 보거든 반갑게 그 이름을 불러주세요.

"와, 떼구름이다!"

 

우리가 그 이름을 불러 줄 때, 하늘은 우리에게 더욱 크고 깊은 울림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오늘 만난 '떼구름'이라는 말, 잊지 마시고 곁에 있는 분들에게도 꼭 나누어 주시길 바랍니다.

 

 

이창수 기자 baedalmaljigi@gmail.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