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30 (목)

  • 맑음동두천 -7.3℃
  • 맑음강릉 -2.2℃
  • 맑음서울 -5.6℃
  • 구름많음대전 -2.6℃
  • 맑음대구 0.4℃
  • 구름조금울산 1.7℃
  • 구름많음광주 2.5℃
  • 구름많음부산 3.7℃
  • 구름많음고창 1.0℃
  • 흐림제주 8.5℃
  • 맑음강화 -6.5℃
  • 구름조금보은 -3.0℃
  • 구름많음금산 -1.5℃
  • -강진군 3.7℃
  • 구름조금경주시 0.5℃
  • 구름조금거제 4.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인체의 음양- 생리

1편 입문 2장 음양 6절
[과학도가 본 명리학 10]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자]  인체를 음양으로 보는 것은 병리 진단 치료의 기초이론으로 동양의술의 시작이며 끝이다. 체질이나 병증에 음양의 구별이 있듯이 치료를 위한 경락, 침 뜸과 약의 성질에도 음양의 구별이 있으니 체질과 병증에 따라 음양이 구별된 치료법을 구사하면 병을 다스릴 수 있다.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차지도 덥지도, 길지도 짧지도, 거칠지도 매끄럽지도, 즐겁지도 노엽지도 않은 음양의 가운데가 건강한 상태다.

 

 

부위의 음양

 

인체의 상부는 양, 하부는 음이다. 표면은 양이고 내부는 음이다. 왼쪽은 음, 오른쪽은 양이다. 양인은 머리는 차갑게 식히고, 음인은 발은 따뜻하게 하여야 전체 순환이 잘 되며 기혈이 제 자리를 잡는다. 따뜻한 음식으로 먼저 아래를 채우고 찬 음식을 먹어야 순환이 바르게 된다. 하늘을 향한 등은 양이니 식히고 땅을 향한 배는 음이니 따뜻하게 한다. 등이건 배건 한 곳을 기점으로 할 때는 음기는 오르고 양기는 내린다.

 

 

내장 기관의 음양

 

장(臟): 음의 장기. 인체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각종 물질을 저장하며 속이 채워진 공통점이 있다. 간장, 심장, 지라(비장), 이자(췌장), 폐장, 콩팥(신장)

 

부(腑): 양의 장기. 음식물의 수납, 전달 곧 소화와 찌꺼기 배설을 주관하고 속을 비워내는 공통점이 있다. 쓸개(담낭), 작은창자(소장), 위, 큰창자(대장), 방광

 

기항지부(奇恒之府): 형태는 부(腑)와 비슷하고 기능은 기를 저장하되 배출하지 않는 장과 비슷하다. 질병 치료에는 오장육부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뇌, 뼈, 골수, 맥, 자궁

 

 

 

체질의 음양

 

양성 체질

음성 체질

 

   체온이 높다.

   서늘한 것을 좋아한다.

   맥박이 강하고 빠르다.

   내쉬는 숨이 강해서 호흡이 짧고 급하다

   물을 많이 마시고 찬물을 좋아한다.

   담백하고 시원한 음식을 좋아한다.

   소화가 잘되고 식욕이 왕성하다.

   얼굴에 붉은빛이 돈다.

   소변의 양도, 회수도 적고 색깔이 붉다.

   추운 계절을 좋아한다.

   지구력이 없고 조급하고 경솔하다.

   봄과 여름의 오후에 몸이 괴롭다.

 

   체온이 낮다.

   따뜻한 것을 좋아한다 .

   맥박이 약하고 늦다.

   들이쉬는 숨이 강해서 호흡이 길고 느리다.

   갈증은 별로 없고 더운물을 좋아한다.

   더운 음식, 양념이 풍부한 음식을 좋아한다.

   소화력이 약하고 식욕이 부진하다.

   얼굴에 검은빛이 돈다.

   소변이 맑고 양도, 회수도 많다.

   따뜻한 계절을 좋아한다.

   지구력이 있고 느긋하다.

   가을과 겨울의 오전에 몸이 괴롭다.

 

 

변 비

 

체열이 약해서 장의 유동 운동이 느려지니 내용물이 정체되는 무열성과 체열이 많으면 땀이나 호흡으로 수분을 발산해서 낮추는데 장의 수분까지 모두 가져다 발산한 결과로 대변이 건조해지는 다열성이다. 무열성은 음증이고 다열성은 양증이다.

 

계절과 일기의 음양

 

양이 왕성한 계절은 춘분부터 추분까지, 음이 왕성한 계절은 추분부터 춘분까지다. 양이 왕성한 춘하는 동적이고 적극적이며 생장하고 번식하는 등 발달하고 음이 왕성한 추동은 정적이고 소극적이고 쇄락하고 공허하여 낙엽이 지고 겨울잠에 든다.

 

양이 왕성한 춘하에는 청년에게 탈이 나기 쉽고, 음이 왕성한 추동은 노인의 병이 악화된다.

양기가 센 사람은 해가 뜬 뒤 몸이 더 피곤하고 해가 진 뒤는 편하고 기분이 상쾌하다. 또한, 구름 끼거나 비가 내리면 편하고 전등 켜기를 싫어하며 하루 중 오후가 가장 힘들다.

 

음기가 센 사람은 해가 뜨면 기분이 상쾌해지고 몸도 편안해지는데 해지면 몸이 무겁고 기운이 없어진다. 활짝 갠 날 몸이 편하고 불빛을 좋아하며 하루 가운데 새벽이 가장 힘들다.

 

 

심리의 음양

 

분노의 양병은 음기로 수렴해야 잦아들고 욕망의 음병은 양기로 다스려 발산해야 삭는다.

 

양 인

음 인

  적극, 동적, 쟁취, 분노, 환희, 경쾌, 용감

  소극, 정적, 욕망, 원한, 비탄 ,침울, 비겁


※ 이어지는 연재는 ‘인체의 음양- 병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