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국립춘천박물관 강원지역 철불 조사연구보고서 펴내

나말려초 강원지역 철불의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 자료와 도판 수록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춘천박물관(관장 김상태)은 강원지역에서 다수 확인되는 남북국시대(통일신라)~고려 시대 철불에 관한 조사연구를 진행하고, 소장품조사연구보고서 Ⅲ 《강원지역 철불의 과학적 조사ㆍ분석보고서》를 펴냈다.

 

조사연구대상은 강원지역에서 발견된 완전한 형태의 철불 5점과 철불 조각 2개체이다.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밀 기록, 미세형상 분석, X-선 촬영, 주조기법 조사, 거푸집의 재료분석 등 다양한 과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철불 안팎 정밀하게 조사하여 기록하였으며, 이 자료를 종합적으로 엮어 강원지역 철불의 제작기술과 특징을 밝혀냈다.

 

5점의 철불 가운데 석가모니불 3점은 외형틀 분할주조 방법으로, 약사불과 아미타불은 밀랍주조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그 가운데 외형틀 분할주조로 제작된 석가모니불 3점은 내부구조와 제작방법이 모두 같아, 동일인 또는 동일한 공인집단에 의해 제작된 작품으로 해석된다. 다만 거푸집에 사용된 토양의 분석 결과 거푸집 제작방법은 동일하지만 한 점은 원료산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D 정밀스캔으로 통해 얻은 3차원 수치데이터을 활용하여 서로 닮은꼴로만 알려져 왔던 불상들의 얼굴 유사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두 11개 기준점과 5개 치수항목 기준을 설정하고 3차원 편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불상의 얼굴은 백호( 두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부분과 얼굴 양 옆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위치와 치수가 비슷하며 전반적으로 2mm 안팎의 편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얼굴 각 부분의 선명도에서는 차이가 확인되어, 두 불상이 동일한 얼굴 모델을 사용하였거나 한 불상이 다른 불상의 모델이 되었을 가능성 두 가지를 고려하게 되었다.

 

약사불의 내부에서는 불상의 제작 당시에 거푸집 안틀의 재료로 쓰인 기와 조각이 여럿 남아있다. 남북국시대~고려시대로 추정되는 다양한 무늬의 기와들이 확인되며, 이는 불상의 제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가운데 하나다. 본 보고서에는 기와 자료를 포함하여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추정되는 불상 내부의 묵서자료 등을 상세히 수록하였다.

 

한편, 보존처리 과정에서 홍천 물걸리 절터 대형 철불의 불두 원형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조사과정에서 기존 철불 조각 가운데 불상의 오른쪽 머리와 얼굴부분 7개의 조각이 서로 접합되었고, 이를 통해 불두의 복원과 규모 추정이 가능해졌다. 본 보고서에서는 접합이 완료된 물걸리 절터 철불의 얼굴을 새롭게 소개하고 물걸리사지 절터 불두의 3차원 디지털 복원 연구 내용을 소개하였다.

 

국립춘천박물관은 연구자료가 부족한 철불들의 제작시기를 연구하기 위하여 부식물을 활용한 방사선탄소연대측정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관련 자료의 축적과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할 계획이다. 조사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된 내용들은 2020년 국립춘천박물관 기획특별전‘불심 깃든 쇳물, 강원 철불’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전시는 7월 28일(화)부터 11월 1일(일)까지 국립춘천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