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한글, 한국어 국제학술대회” 열린다

  • 등록 2016.08.11 11:59:40
크게보기

훈민정음 반포 570돌 기념, 8월 18~19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올해는 훈민정음해례본 간행, 한글 반포 570돌이 되는 해이다. 훈민정음 창제 과정과 보급 과정에서 불교의 역할이 아주 컸음은 언문으로 옮긴 각종 불경언해서가 이를 증명해 준다. 이렇게 훈민정음은 한글, 한국어 발전과 불교 발전에 동시에 이바지한 바 크다. 그동안 이러한 비중 있는 상호 관계를 제대로 조명한 국제학술대회는 없었다.

 

이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선학회 주최, 국립한글박물관, 한국연구재단 후원으로 불교와 한글, 한국어 국제학술대회가 오는 818국립한글박물관 강당(13:00~17:30), 819일 연세대학교 위당관 6층 문과대학 백주년기념홀(10:00~18:20)에서 열린다.

 

불경언해서의 발간과 보급 과정은 바로 훈민정음 발달 과정과 맥을 같이 하고 있으므로 거꾸로 불교와 한글 관계를 규명하지 않는다면 훈민정음 반포 570돌의 의미를 제대로 조명할 수 없다. 따라서 이번 불교와 한글, 한국어 국제학술대회는 그 의미가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우기 현대 한국어뿐만 아니라 과거 한국어 역사를 말뭉치를 통해 조명해온 연세대언어정보연구원과 훈민정음과 불교 관련 연구를 가장 깊고 넓게 해 온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불교 관련 심층 연구를 수행해온 한국선학회가 동시 주최를 함으로써 학술대회의의 의미를 더욱 빛내 주고 있다.


 

학술대회는 남기심 연세대 교수의 불교와 한글, 한국어기조강연으로 시작한다. 주제발표로 눈에 띄는 것은 노마 히데키 일본 메이지가쿠인대 교수의 글의 탄생과 불교사상의 언어”, 서상규 연세대 교수의 말뭉치로서의 한글 대장경과 그 활용”, 홍현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연구원의 불경언해 역주 현황과 의미”, 정우영 동국대 교수의 훈민정음 표기법과 불전언해”, 김슬옹 인하대 교수의 불교를 통한 훈민정음 보급의 의미”, 백해파 중국 중앙민족대 교수의 조선어대사전의 불교 어휘 사용-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하여등이다.

 

특히 학술대회와 관련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불경언해 역주 총서특별전시를 열어 그 의미를 더한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