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식품의 모든 것 한자리에!

  • 등록 2017.04.15 11:40:53
크게보기

농촌진흥청, 14일 aT서‘곤충식품 페스티벌 및 심포지엄’ 열어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촌진흥청(청장 정황근)14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식용곤충 소비 확대를 위한 곤충식품 페스티벌과 심포지엄을 연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곤충식품업체, 학계, 관계자 등 600여명이 참석해 전시와 음식시연, 심포지엄 등이 열릴 예정이다. 특히, 오전에는 곤충요리 시식행사가 있을 예정이며 오후에는 곤충요리 시연도 있다.

곤충식품 페스티벌에서는 곤충식품 관련 제품 등을 전시해 국민들에게 식용곤충의 긍정적 이미지를 높이면서 소비를 확대하는 방안도 협의한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경희대학교 최수근 교수의 외식산업에서 곤충식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주제발표를 시작으로 곤충 식품의 글로벌 트렌드’(노바마켓인사이트 최정관 대표), ‘곤충식품의 산업화와 마케팅 전략’(한미양행 정명수 대표), 홍신애의 곤충요리 시연’(요리연구가 홍신애 대표), ‘곤충 환자식 임상 연구’(강남세브란스병원 박준성 교수), ‘곤충기능성 연구’(충남대학교 나민균 교), ‘곤충식품원료의 안전성’(국립농업과학원 최지영 농업연구관) 추진할 계획이다.

정황근 농촌진흥청장은 개회사에서 지난해 3월 고소애(갈색거저리 유충)와 쌍별이(쌍별귀뚜라미)12월에는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애(장수풍뎅이 유충)가 일반 식품원료로 인정돼 식품공전에 등록됐다.”라고 말했다. 또한, “식용곤충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어 이번 곤충식품 페스티벌 및 심포지엄을 통해 곤충식품 산업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성제훈 기자 jhsung@korea.kr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