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첨성대서 혜성 32회ㆍ일식 29회 관측해

  • 등록 2017.08.08 23:35:06
크게보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19]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신라의 달밤이 두렵습니다. 지난 20082월 어이없는 방화로 국보 1호 숭례문이 소실됐죠. 그런데 국민의 가슴을 내려앉게 만드는 일이 지난 4일 경주에서 또 벌어졌습니다. 사진에서 세 명의 사람이 첨성대에 걸터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지난 4일 새벽, 20대 여대생 세 명이 술을 마시고 경북 경주의 첨성대에 기어 올라가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합니다.” 이는 SBSCNBC 보도 내용입니다.


 

이렇게 온 국민을 깜짝 놀라게 만든 첨성대 사건이 며칠 전에 있었습니다. 이 국보 제31호 첨성대(瞻星臺)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天文臺)로 알려진 석조 건물로, 우리나라의 천문학과 기상학의 높은 수준을 잘 보여 주고 있다고 하지요. 첨성대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따르면 신라 27대 선덕 여왕(善德女王) 16(서기 647) 백제인(百濟人) 아비지(阿非知)가 세웠다고 합니다.

 

첨성대란 말을 풀어보면 '[]을 바라보는[] 시설[]'로 해석합니다. 아직도 첨성대에 대한 기능에 대해 천문 관측대, 제단 등으로 논란이 있지만, 이름이나 삼국유사의 기록으로 보면 첨성대는 별을 보는 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삼국유사기록에 따르면 신라에서는 혜성 관측 기록이 32, 일식은 29회나 관찰되었다고 하는데, 신라인들은 이 첨성대에서의 관측을 통해 혜성과 일식 등 하늘의 변화를 예측하고 그것을 기록으로 남겼던 것입니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