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연애 이야기란 남녀노소 고금동서를 막론하고 인류의 영원한 흥미 거리이다. 미스 K는 운전하면서 중간중간에 소리 내어 웃기도 하고 “아 그래요?”라고 추임새를 넣기도 하면서 열심히 남의 연애 이야기를 들어 주었다. K 교수는 신이 나 과장법을 써가면서 대학 1학년 때 미팅 가서 만난 첫 번째 여자에게서 바람맞은 이야기까지 했다. K 교수는 소설책을 많이 읽었기 때문에 별것 아닌 이야기에다가 그럴듯하게 살을 붙이고 적당한 장면에서 반전을 만들며 이야기를 이어갔다.
얼마쯤 가다가 미스 K는 기름을 넣기 위하여 주유소에 차를 세웠다. 알바 청년이 주유하는 잠깐에 미스 K는 차에서 내렸다. 미스 K는 화장실에 다녀오다가 자판기로 가더니 커피 2잔을 뽑아 왔다. K 교수는 조수석에 앉아서 미스 K의 걸음걸이며 지폐를 넣고서 커피 나오기를 기다리는 모든 과정을 영화 보듯이 바라보고 있었다. 모든 동작 하나하나가 우아해 보였다. 머리에 오른손을 올려서 앞머리를 살짝 정돈하는 모습도 매력적이었다. 패션모델이 걷듯이 가볍게 사뿐사뿐 우아하게 걷는 모습은 물가를 걷는 학을 연상시켰다.

“교수님, 커피 드시지요. 교수님이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시는데도 졸음이 오네요. 저도 커피 한잔 마셔야겠어요.”
“아이고, 내 이야기가 별로 영양가가 없었나 보군요. 조수석에 앉는 사람으로서 자격이 없나 봐요. 어떻게 하죠? 그렇다고 내리라고 하지는 마세요.”
“아니에요 교수님. 재미있는 연애 이야기인데, 제가 어제 잠을 설쳐서 그런가 봐요.”
“아 그래요? 무슨 잠 못 이룰 일이라도 있었나요?”
“그렇지는 않은데 너무 피곤해서... 그런데, 교수님 부탁 하나 할까요?”
“그러세요. 미녀가 부탁하는데 거절한다면 남자가 아니지요.”
“운전 좀 해주시겠어요?”
순간 K 교수는 난감했다. K 교수는 기아 자동차에서 나온 소형차인 프라이드를 8년째 타고 있었다. 그런데, 한 번도 만져보지 못한 대형차인 그랜저를 운전해 달라니 어쩌면 좋단 말인가! 옆자리에서 보아도 그랜저는 항공모함처럼 커서 폭을 가늠하기가 어려웠다. 그렇다고 이런 상황에서, 나 운전 못 하겠다고 물러선다면 그것은 남자로서 자존심 상하는 일이다. 비겁한 일이다. 에라 모르겠다. 미래는 하늘에 맡기고 일단 부딪혀 보는 수밖에.
K 교수는 미국 유학 시절부터 운전했으니까 운전 경력은 햇수로만 따지면 거의 20년이 된다. 미국에서는 포드 자동차에서 만든 ‘핀토’라는 수동변속 자동차를 운전하였다. 그랜저는 자동변속이기 때문에 복잡한 시내 길이 아니라면 운전할 수 있겠다고 생각되었다. 용기를 내자. 서양 속담에 “용감한 사람이 미녀를 얻는다.(Only the brave wins the beauty.)”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위기를 기회로 삼자. 만일 그랜저 운전하다가 사고를 내면? 그건 오로지 하늘의 뜻에 맡기자. 인생은 어차피 모험의 연속이니까.
“그러지요. 제가 운전 경력이 20년이나 되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지금부터 미인의 목숨과 안전을 제가 책임지겠습니다.”
막상 운전대를 잡으니 두려운 생각이 들었다. 그랜저 앞쪽 후드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가 왜 그렇게도 넓어 보이는지. 앞바퀴가 차선의 어디에 걸칠 것인지 짐작이 가지 않았다. K 교수는 앞차와의 간격을 최대한 많이 두고서 천천히 가속기를 밟았다. 모든 신경을 운전에 집중하였다. 자기도 모르게 손에 힘이 들어가서 운전대를 꽉 쥐었다. 프라이드와 달리 그랜저는 성능이 좋아서 가속기를 조금만 밟아도 금방 속도가 붙었다. 브레이크를 조금만 밟아도 제동이 잘 되었다.
약 10분쯤 긴장하며 천천히 운전하다 보니 약간은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 그래서 K 교수는 이야기를 다시 이어갔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