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경영 우수 직장 277곳 상 준다

  • 등록 2025.11.05 11:07:35
크게보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2025 독서경영 우수직장 인증·시상식’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직무대행 이구용, 이하 출진원)과 함께 독서 친화 경영을 통해 직장 내 책 읽는 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는 277곳(신규 131곳, 재인증 146곳)을 ‘2025년 독서경영 우수직장’으로 선정했다.

 

 역대 최대 277곳 인증, 인증기관에 독서경영 상담 등 후속 지원

 

  2014년 처음 시작해 올해로 12년 차를 맞이한 ‘독서경영 우수직장 인증제’는 매년 독서 친화 경영을 하는 기업과 기관을 선정해 문체부 명의로 인증하고 우수 기관을 포상하는 제도다. 시행 첫해, 20곳 인증을 시작으로 매년 인증 기업 수가 증가해 왔으며, 올해는 역대 최대인 277곳이 인증을 받는다. 인증을 받은 기업은 맞춤 독서경영 상담(컨설팅), 도서 지원, 실무자 교류 행사 등의 후속 지원을 받게 된다.

 

  올해는 인증기업들이 사내 독서문화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경영 혁신을 이끌어내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디지털 전환 흐름에 발맞추어 전자책을 지원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독서 후기를 공유하는 등 독서 방식이 다양해졌고, 독서 활동을 인재 육성, 혁신 아이디어 제안과 접목해 독서경영이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실질적 매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줬다.

 

 

 독서경영 우수기관 6곳에 문체부 장관상 수여, 대상은 주식회사 파라다이스 선정

 

  문체부는 인증 기관 중 평가점수가 우수한 상위 기관 6곳(대상 1곳, 최우수상 5곳)을 선정해 문체부 장관상을 시상한다. 올해 대상은 전 그룹사 공동 참여형 독서모임인 ‘파라북클럽’을 비롯해 사내 독서 지도사인 ‘북 퍼실리테이터’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연말 독서문화축제인 ‘파라독서대전’ 개최, 월간 독서 소식지 ‘파라북레터’ 배포 등 독창적인 독서 프로그램으로 임직원의 자율적 참여를 이끌어온 주식회사 파라다이스가 받았다.

 

  최우수상은 ▴독서 ‘티티티(Thinking, Talking, To try) 카드’로 온라인 독서 후기를 공유하고 독서토론 학습조직을 운영한 농업회사법인 조인(주) 복정지점과 ▴월 2회 희망 도서를 지원하고 전체 회의 때 책 발표 시간을 마련하는 등 지식 교류 중심의 독서경영을 추진한 이상한마케팅 주식회사, ▴전 센터에 서가 설치와 전자도서관 이용을 지원하고 유튜브 독서 방송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독서 환경을 조성한 ㈜트랜스코스모스코리아, ▴이동형 미니 북카페, 손글씨 공모전 등을 통해 직원들이 다양한 독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한국남부발전주식회사, ▴지역 주민과 여객선 이용객들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파도소리 도서관’을 운영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 총 5개사가 수상한다.

 

 11. 5. 독서경영 우수직장 인증 시상식 개최, 수상기업·기관 우수사례 발표

 

  올해 ‘독서경영 우수직장 인증 시상식’은 11월 5일 오후,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시상식에서는 우수기업 시상과 인증서 수여, 우수사례 발표를 비롯해 ‘책은 도끼다’를 쓴 박웅현 작가의 ‘나는 왜 책을 읽는가’를 주제로 한 강연도 이어진다. 대상과 최우수상 수상기관에는 부상으로 인증 현판과 도서문화상품권을 수여한다.

 

  아울러 올해부터는 전자책 서비스 기업들이 독서경영 인증기업에 대한 후원을 확대한다. 독서경영 인증기업들이 전자책 서비스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교보문고’는 샘(Sam) 1개월 무료 이용권을, ▴‘밀리의 서재’는 3개월 기업서비스 무료 이용권을, ▴‘예스24’는 크레마클럽 1개월 무료 이용권을, ▴‘윌라’는 1개월 무료 이용권을 제공할 예정이다.

 

  문체부 임성환 미디어정책국장은 “책은 사람을 키우고, 그 사람은 기관의 성장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독서를 경영전략과 접목하는 기관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문체부는 더욱 많은 기관이 독서경영을 통해 개인과 조직의 성장뿐 아니라 나아가 지역사회에 독서문화를 확산하는 데 앞장서도록 독서 프로그램 등 후속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윤지영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