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레와 민족 / 려증동

  • 등록 2005.03.05 15:31:47
크게보기

"겨레와 민족" 공자가 민(民)이라는 말을 썼다.(民免而無恥. 논어2) 맹자는 왕에게 ‘백성과 함께 즐기라’(與民同. 맹자2)고 요구했다. 배달겨레 말이나 차이나 말에는 민족(民族)이란 말이 없었다. 이 말(民族)은 일본말이다. 1905년 11월17일에 ‘을사국치’가 있었다. 일본 통감이 남산에 자리잡고 코리안을 다스렸다. 그때는 일본말 ‘民族’이라는 말이 쓰이지 아니했다. 5년 뒤 1910년 8월29일에 ‘경술국치’가 있었다. 나라 잃은 ‘실국시대’로 되어서 일본 총독이 코리안을 다스렸다. 1919년에 일본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최 린이 일본말 ‘민족’을 사용하면서 민족 자결(民族 自決)이라는 말을 썼던 것이다. ‘겨레’라는 배달말이 자라나지 못하고, 세력을 잃었다. 일본말 ‘민족’에 배달말 ‘겨레’가 눌리게 된 것이다. 1945년 을유 광복 후 ‘겨레’라는 배달말이 자라게 되고, 일본말 ‘민족’이 사라지게 되었다. 광복 후 ‘겨레’라는 신문사가 생겼으나 ‘민족’이라는 신문사는 없었다. ‘겨레체육대회’가 생겼으나, ‘민족체육대회’는 생기지 아니했다. 말이 죽고 사는 것은 겨레가 죽고 사는 것과 똑 같다. 그런데 조금 있다 다시 ‘민족’이란 말을 즐겨 쓰는 이들이 많아졌다. 이젠 많이 바꿔 쓴다고 하지만, 배달말 사용이 막히고, 일본식 말이 많이 쓰이는 데가 법률 용어다. 일본식 말로 된 법률 조문을 외워 사법고시에 합격하고 판검사, 변호사가 되었다. 법률 용어가 일본식 말로 가득차서 그들의 머리가 실국시대 일본 사람으로 된 이가 많은 것이다. 학술, 정치 용어도 그렇다. 겨레얼과 정서를 제대로 모르면서 학문을 하고 정치를 하며 재판을 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려증동/경상대 명예교수·배달학 한겨레신문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