펼침막 하나에도 토박이말을 살려쓰는 진주의 두 초등학교

  • 등록 2014.11.11 22:56:26
크게보기

배영초등학교와 금곡초등학교

[그린경제/ 얼레빗 =  윤지영 기자] “토박이말과 사투리를 혼동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사투리는 행커치(외래말로 경상도에서 쓰는 사투리, 손수건)와 같이 지역에 한정되어 쓰는 말이지만 토박이말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밖에서 들어 온 말(외래어)이 아닌 온 배달겨레가 오랫동안 써온 고유어를 말한다”

이 말은  <우리말은 서럽다>라는 책을 쓴 국어학자  김수업(전 대구가톨릭대학교총장) 교수가 알기쉽게 설명해 놓은 말이다. 

 

   
▲ 경남 진주 배영초등학교 교문에 붙은 펼침막에는 이날 찾아오는 분들을 맞이하는 문구가 남다르다

이러한 토박이말을 배우고 실천하는  학교가 있다. 경남 진주의 배영초등학교(교장 박득자)와 금곡초등학교(교장 안순화)가 그곳이다. 이 두 학교에서는 평소 아이들에게 토박이말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아름다운 우리토박이말을 실생활에서 쓰도록 이끌어 주고 있다.

 

   

▲ 펼침막이 토박이말로 가득하다, 배영초등학교생 공연

 

 

   
▲ 금곡(쇠실)초등학교 솜씨 겨루기 작품

 

아는 것은 실천하는 것보다 못하다고 했던가! 이 두 초등학교의 토박이말 사랑과 실천 정신에 손뼉을 쳐주고 싶다.

이곳에서는  지난 11월 5일 그간 갈고 닦은 제1회 토박이말 겨루기대회와 토박이말 교육활동 열매나누는 잔치가 열렸다. 행사는 배영초등학교에서 열렸는데 기자를 놀라게 한 것은 학교 교문 입구에 세운 펼침막이었다. 대부분 한자말에서 나온 "환영" 같은 말로 손님을 맞이하는데 이곳은 "손뼉" "기쁨"이라는 말로 학교를 찾은 이들을 즐겁게 했다.

윤지영 기자 qdbegm@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