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 가까이에 용한 부처님이 계셔 불교 신자는 아니지만 가끔 찾아간다. 용미리 석불이 그 주인공이다. 부처님께 오르는 오붓한 소나무 길이 정겹고 솔바람 소리도 가슴의 때를 벗겨주기에 안성맞춤이다. 소나무 길이 끝나는 지점에 용암사가 있는데 그 왼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거대한 돌부처가 천년의 세월을 받치고 우뚝 서계시다.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 11번지에 계신 돌부처는 보불 93호로 절의 유래에 따르면 '고려중기 13대 선종(재위 1083-1094)이 자식이 없어 셋째부인인 원신궁주까지 맞이했지만 역시 아이가 없자 깊은 시름에 빠졌다. 그러던 어느 날 꿈에 고승이 나타나 말하길 우리는 장지산 남쪽 산기슭에 있는 바위틈에 사는 사람들이오. 배가 매우 고프니 먹을 것을 주시오. 하고는 홀연히 사라졌다. 꿈을 깬 궁주는 왕께 이 소식을 알렸고 왕은 커다란 바위를 발견하고 이 바위에 두 불상을 새기고 절을 지어 불공을 드렸다. 그러자 원신궁주가 떡 두꺼비 같은 아들을 낳았다’라는 전설이 아로 새겨져있다.
아들점지 부처님으로 동네뿐만 아니라 외지에도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이곳 용미리 부처님을 찾아온다. 실제로 작은 동서는 이곳의 효험을 받아서인지 딸 셋에 늦둥이로 아들 하나를 얻었다. 워낙 등치가 커서 서울에서 광탄쪽으로 들어서는 길목에서 조차 산속에 삐죽이 나온 갓 쓴 모습의 부처님 머리가 보인다. 불상 머리에 갓을 쓴 형태는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형태로 남성상은 왼손으로 가사를 잡은 모습이고 여성상은 합장한 모습인데 보면 볼수록 정겨워지는 부처님이다. 진달래 피는 산언덕에 비바람도 마다않고 꿋꿋이 서계시는 파주의 자랑 부처님을 내일은 한번 다시 뵈러 가야겠다.
파주시 광탄에서 독자 이선자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