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김익상 의사가 조선총독부에 폭탄 던진 날

  • 등록 2017.09.11 23:49:31
크게보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42]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독립운동가 김익상(金益相, 1895~ 미상) 의사가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던진 날입니다. 김 의사는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기독교학교의 교사와 기계 감독으로 근무하다가 1920년 만주 봉천(奉天)으로 전근된 것을 기회로 비행사가 되기 위해 중국 광동(廣東)으로 갔으나 학교가 폐교되어 뜻을 이루지 했습니다. 얼마 뒤 김 의사는 항일 운동에 몸 바치리라 각오하고 북경으로 가서 독립운동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에 입단하였지요.


 

1921년 의열단 김원봉 단장으로부터 총독 암살 밀령을 받고 국내로 들어와 전기 수리공으로 변장한 뒤 912일 총독부에 잠입하여 2층 비서과(총독실로 오인)와 회계과장실에 폭탄을 던졌습니다. 이때 비서과에 던진 폭탄은 불발이었으나 회계과장실에 던진 폭탄은 큰 소리를 내며 폭발하였고, 이에 여러 명의 일본 헌병들이 놀라 뛰어올라 왔지요. 의사는 이들에게 “2층으로 올라가면 위험하다.”라는 말을 남기고 유유히 조선총독부 청사를 빠져나왔습니다.

 

그 뒤 1922년 김 의사는 동지 오성륜과 함께 일본의 전 육군대신이며 육군 대장인 다나카(田中義一)를 암살하기 위해 계획을 세웁니다. 거사 당일인 328일 다나카가 배에서 내려오자, 오성륜이 다나카를 향하여 권총을 발사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실패하고 맙니다. 하지만 김 의사가 다시 달아나는 다나카를 향하여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불발되어 거사가 실패로 돌아갔는데 현장을 탈출하다가 권총에 맞고 붙잡히고 맙니다. 김 의사는 나가사키로 압송되어 재판을 받고 사형을 선고 받았으나 21년으로 감형되어 옥고를 치렀지만 귀향 뒤 다시 일본 형사에게 연행되어 암살당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김 의사의 목숨을 건 독립운동은 나라로부터 인정받아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습니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