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고기, 부위 특성 따라 고르자

  • 등록 2018.09.11 11:28:06
크게보기

영양은 뭉치사태ㆍ토시살, 맛은 본갈비ㆍ업진살 좋아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한우고기는 크게 10개 부위, 작게는 39개 부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부위마다 고유의 특징이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한우를 보다 다양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우 1등급 32개 부위*의 육질과 영양을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32개 부위: 39개 소분할 부위 중 양이 매우 적거나 겹치는 7개 부위는 제외.

 

‘영양 많은 부위’로는 연구 결과,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뭉치사태, 우둔살이 높았다. 여성과 어린이에 좋은 △철과 아연은 각각 토시살, 치마살이 △필수지방산은 참갈비, 차돌박이에 많이 든 것으로 나타났다.

 

 

‘맛있는 부위’ : 구이용 맛 평가에서는 본갈비, 업진살, 살치살 순으로 맛 점수가 높았다. 소는 13개 갈비뼈가 있는데, 이 가운데 본갈비는 제1 갈비뼈에서 제5 갈비뼈를 분리 정형한 부위이다.

 

‘열량 낮은 부위’ : 뒷다리 안쪽 살인 홍두깨살의 열량은 100g당 136kcal로, 조사한 32개 부위 중 가장 열량이 낮았다. 앞사태와 뭉치사태가 137kcal로 뒤를 이었다.

 

 

 

 

‘명절 맞춤 부위’ : △산적은 지방 함량이 적고 부드러운 앞다리살과 우둔살 △꼬치는 고기 조직이 단단한 홍두깨살과 설깃살을 추천한다. △찜용 갈비는 본갈비나 꽃갈비보다 조리 후 양이 덜 줄어드는 참갈비가 좋다. △탕은 근막(근육막)이 많아 감칠맛이 좋은 양지머리, 앞사태, 뒷사태를 고른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김진형 농업연구관은 “영양과 용도를 고려해 한우고기를 산다면 다가오는 한가위 상차림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성제훈 기자 jhsung@korea.kr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