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스(기업,포상,국제회의)업계, 코로나 시대 혁신 방안은?

  • 등록 2020.11.24 11:25:49
크게보기

11. 24.~27. ‘2020 한국 마이스 박람회’ 온·오프라인 병행 개최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 주최하고,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 인천관광공사(사장 민민홍) 주관하는 2020 한국 마이스 박람회(KOREA MICE EXPO)’가 11 24()부터 27()까지 인천광역시 송도 컨벤시아와 공식 누리집(www.koreamiceexpo.com)’에서 열린다.

  * 마이스(MICE):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ravel), 국제회의(Convention), 전시행사와 이벤트(Exhibition/Event)의 영문 첫 글자를 딴 말

 

  올해로 21회를 맞이한 박람회에서는 ‘혁신을 위한 도전’을 주제로 코로나19 위축된 마이스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온라인과 현실 공간을 넘나들며, 국내외 마이스 기업 화상 상담회의, 국제회의, 마이스 기업 온라인 전시, 회의기술 관광벤처 기업 시연회 다양한 행사를 행한다.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 상담회, 전시 등의 행사는 라인으로 진행한다. 개막식, 국제회의 등 현장 참가가 있는 행사의 경우에는 안전한 행사의 표본이 있도록 철저하게 방역 수칙을 준수하고, 사전 예약자만 전자출입명부 확인 등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코로나19 시대 마이스 산업 대응 전략 공유, 업계 교류의 마련

 

  11월 24일(화) 개막식에서는 ‘새로운 경험, 가능성의 확장’이라는 주제로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부회장 카렌 춥카가 강연하고, 업계 교류, 마이스 산업 동향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특히, 비대면 회의 수요 급증에 따라 안내 봇의 안내와 안면 인식 기술을 통한 참가자 등록과 입장, 3차원 입체사진(홀로그램) 시연 등 첨단 회의기술도 선보인다. 또한 ‘대한민국 마이스 대상’ 시상식을 통해 한국 마이스 산업 발전에 기여한 관계자를 격려한다.

 

 

  11월 24일(화)과 25일(수)에는 국제회의가 행사 공식 누리집과 유튜브 등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아마존웹서비스 코리아 등의 첨단 정보통신(IT) 기업 전문가를 비롯해 국내 주요 기술 업체, 학회 관계자 등이 참여해 마이스 산업의 최신 동향과 회의기술의 확장 가능성, 마이스 산업 혁신 방안 등을 주제로 발표하고 토론한다.

 

 30개국 구매자 300 명이 참여하는 기업 상담회와 온라인 전시 진행

 

  마이스업계가 새로운 판로를 개척할 있도록 국내 마이스업계와 구매자 화상 상담회의도 열린다. 특히 중국 대형여행사 ‘트립닷컴’ 30개국 구매자 300 명과 국내 220 개의 마이스 기업·단체 판매자가 참가해 화상회의 2,000 회를 진행할 정이다.

 

  공식 누리집에서는 이색 회의명소 6 주제별 온라인 전시관도 만들어 국내 마이스 기업과 단체 220개의 홍보관을 운영해 판촉을 펼친다.

  * (주요참가 기업·단체) ▲ (지역 마이스) 서울관광재단, 부산관광공사 등 17개, ▲ (마이스 시설) 서울 코엑스, 고양 킨텍스, 송도 컨벤시아 등 73, (마이스 서비스) 한국마이스협회, 한국피시오(PCO)협회, 이지피엠피 등 56개, ▲ (디지털 기술) 오픈부스, 벤터스 등 25개, ▲ (지역 이색 회의명소) 국립중앙박물관, 남이섬 등 19개

 

  이 밖에 박람회의 주요 일정과 자세한 내용은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체부 박양우 장관은 “코로나19를 계기로 ‘혁신을 위한 도전’은 우리 모두 합심해 풀어야 할 과제가 되었다.”라며, “우리에게는 우수한 디지털 기반과 첨단기술, 다양한 행사 개최 경험이 있는 만큼, 우리 마이스 산업은 지금의 위기를 뛰어넘어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는 변화와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문체부도 업계의 디지털 활용 역량을 키워 마이스 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윤지영 기자 qdbegm@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