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활 속에서 소를 이야기하다

2020.12.17 12:18:16

국립민속박물관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 <심우: 소를 찾아서> 학술강연회 열어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를 맞이해 학술강연회 <심우(尋牛): 소를 찾아서>를 연다. 이번 강연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국립민속박물관 공식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tnfmk)에서 2020년 12월 23일(수)부터 2021년 3월 1일(월)까지 시청할 수 있다. 학술강연회에서는 정연학(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천명선(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김희재(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한국의 생활문화 속에서 소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풀어나갈 예정이다.

 

□ 노동력과 풍년의 상징, 소

 

우리 문화는 농경문화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농사의 주역인 소는 여러 풍속과 관련 맺어 왔다. 정연학 학예연구관은 소가 갖는 의미를 농경사회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소의 힘을 빌려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래로 우리 농경문화에서 소는 필수적인 노동력이었다. 소가 없는 집에서 남의 소를 빌려 쓰고 품삯으로 갚았던 소 품앗이나 소를 한 마리씩만 가지고 있는 겨리사촌끼리 돕던 관습은 소의 노동력을 바탕으로 형성된 민속문화이다.

 

소는 권농과 풍년을 상징하기도 한다. 입춘 전후 흙, 나무로 만든 소 인형인 토우(土牛)나 목우(木牛)를 세우던 행위에서 한 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고 풍년을 기원하는 조상들의 바람을 볼 수 있다. “소 팔아 자식 대학 보냈다”라는 말처럼, 소가 농경사회에서 차지하는 중요성만큼 농가의 주요한 재산으로 간주되어 왔다. 특히 대한제국 시기의 소 보험은 한국인이 소를 얼마나 소중히 생각하는지 보여주는 사례로 제시한다.

 

 

□ 소, 방역 최전선에 서다

 

야생의 소는 인간과 함께하기 위해 신체를 변화시켰고, 인간은 소를 먹일 막대한 풀을 마련하기 위해 주변 생태계를 변화시켰다. 인간과 소가 공존해 온 여정은 질병을 매개로 살펴볼 수 있다. 천명선 교수(서울대학교)는 인간과 소의 관계가 질병을 중심으로 어떻게 전개됐는지 강연한다. 우역(牛疫)은 소에게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에 대응하는 과정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축을 담당한다. 한편 기원전부터 인류를 괴롭혀 온 두창(천연두)은 소의 도움으로, 우결핵은 인간의 도움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일련의 사례를 통해 인간과 소가 질병을 공유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살아온 모습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신축년 소띠해를 맞이하여 준비한 <우리 곁에 있소> 특별전에 대한 전시기획 설명을 유물을 중심으로 김희재 학예연구사의 안내에 따라 들을 수 있다.

 

□ 여유와 풍요로움을 기원하는 흰 소띠의 해

 

십이지의 두 번째 동물인 소는 달로는 음력 12월, 시각으로는 새벽 1시에서 3시, 방위로는 동북(東北)에 해당한다. 2021년 신축년은 흰색에 해당하는 천간 ‘신(辛)’과 소에 해당하는 지지 ‘축(丑)’이 만난 상서로운 흰 소띠의 해다. 이번 학술강연회를 통해 소의 습성은 물론 문화적인 의미를 되짚어보면서 사람과 함께 하는 소에 대한 많은 것을 공유하고, 신축년 새해에는 소가 가진 의미처럼 각 가정에 여유와 풍요가 가득하기를 기원한다.

 

 

이한영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