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천연 무기안료》 펴내

  • 등록 2021.01.26 12:06:08
크게보기

단절된 전통 단청안료 복원 연구성과와 품질기준 수록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단절된 전통 단청물감의 복원과 품질기준 연구 성과를 담은 보고서 《천연 무기안료》를 펴냈다.

* 무기안료(無機顔料): 화학적으로 무기질인 물감으로, 천연광물 그대로 또는 천연광물을 가공‧분쇄하여 만든 것과 금속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것이 있음

 

 

우리나라는 예부터 절, 궁궐 등 주요 목조건축물의 목부재를 보호하고 건축물의 격에 맞는 장식과 장엄을 위해 천연재료로 단청을 칠하였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값이 싸고 수급이 쉬운 화학 물감이 들어오면서 전통 물감의 수요가 줄어든 것이 전통 단청물감에 대한 제조와 시공기술의 단절로까지 이어지면서 제법과 문화재 현장 수급ㆍ적용 등 제반적인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전통 단청물감을 과학적으로 복원하고 전통 물감에 대한 최소한의 품질을 규격화하여 문화재 수리 현장에 안정적으로 적용,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14년 천연 무기안료와 전통 인공물감을 주제로 한 ‘전통 단청안료 제조기술‧품질기준 연구’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 마무리한 바 있다.

 

 

 

이번 보고서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추진했던 ‘천연 무기안료’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단청용 전통 물감에 대한 원료공급 기반과 전통 제법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품질기준 마련과 함께 연구 과정에서 획득한 원료광물, 재현안료, 시판안료에 대한 재료 과학적 분석 정보 등 5년 동안의 연구성과 가운데 핵심적인 부분을 담은 기록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고문헌 자료뿐 아니라 현재 광물자원 정보를 토대로 단청에 사용된 전통 믈감의 원료 산출과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국내 모두 64개 지역에 대한 원료공급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석간주, 황토, 뇌록, 백토, 석록, 석청, 주사 등 천연 무기안료 7종에 대한 전통적인 제조기술도 확보하였다. 특히, 국내 연구 사례가 없는 주사의 재현과 제법 복원(수비법ㆍ연표법)에 성공한 것은 괄목할 만한 성과다. 확보된 전통 물감의 제조기술 가운데 수비법 관련해서는 기술특허(물감 분별 방법, 특허 제1957716호)로 등록하고 민간에 기술을 이전하여 전통물감의 생산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 석간주: 적색계열의 자연 풍화토, 암석 및 광물을 원료로 제조된 적색 안료

* 뇌록: 녹색계열의 자연 풍화토, 암석 및 광물을 원료로 제조된 녹색 안료

* 석록: 녹색계열의 암석 및 광물을 원료로 제조된 녹색 안료

* 석청: 청색계열의 암석 및 광물을 원료로 제조된 청색 안료

* 주사: 적색계열의 황화수은 광물을 원료로 제조된 적색 안료

* 수비법(水飛法): 물 또는 아교수에서 안료의 입자크기에 따라 침강속도가 다른 특성을 이용한 안료 제조기술

* 연표법(硏漂法): 대나무통과 아교수를 이용한 안료 제조기술

 

 

 

한편, 연구를 통해 수립한 「천연 무기안료 품질기준」은 석간주, 황토, 백토, 뇌록, 호분, 석청, 석록, 주사, 석황 등 천연 무기안료 9종에 대한 주요 성분과 성능기준, 이에 대한 시험방법을 담고 있다. 이번에 제시된 문화재 보수용 천연 안료에 대한 품질기준은 국내 문화재 분야에서 최초로 시도된 사례로서 의미가 크다. 또한, 품질이 확보된 전통 물감을 현장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호분: 자연산 패각 등을 원료로 제조된 백색 안료

* 석황: 황색계열의 황화비소 광물을 원료로 제조된 황색 안료

 

보고서 원문은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portal.nrich.go.kr)에 공개하여 누구나 쉽게 열람하여 활용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보고서 《천연 무기안료》에 이어 올해에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2년 동안 진행한 ‘전통 인공안료’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전통 단청안료 제조기술 및 품질기준 연구’ 사업의 종합보고서를 펴낼 예정이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