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으로 떠나는 가을 여행 「왕릉팔(八)경」

  • 등록 2025.08.20 14:49:42
크게보기

‘대한제국 봉심길’, ‘순종황제 능행길’ 추가한 8개 길 운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오는 9월 6일부터 11월 10일까지 모두 22회에 걸쳐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을 운영한다.

 

「왕릉팔(八)경」은 조선왕릉과 궁궐, 그리고 왕릉 주변 지역의 역사, 문화자원을 연계해 전문 강사와 함께 여행하는 체험형 1일(8시간 안팎) 답사 프로그램이다. 참가자들이 조선시대 임금과 왕비가 왕릉을 행차하는 ‘능행’과 관련된 흥미로운 역사 속 사건과 행사를 왕릉을 직접 거닐며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6개 길로 운영되었던 올해 상반기 프로그램에는 300여 명이 참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선왕릉을 체험하였다.

* 능행(陵行): 조선시대 임금이 선대 임금이나 왕비의 능에 제사를 지내거나 참배하기 위해 행차하는 일

 

 

이번 하반기 프로그램에는 상반기에 운영한 6개 코스에 ‘대한제국 봉심길’, ‘순종황제 능행길’ 코스가 새롭게 추가되어, 모두 8개 코스가 운영될 예정이다. 9월 6일 조선의 순종 황제가 행했던 동구릉과 홍릉 능행길을 따라가는 ‘순종 황제 능행길’을 시작으로, 11월 10일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로서 걸었던 능행길인 ‘대한제국 봉심길’에 이르기까지 약 석 달에 걸쳐 진행되며,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해 대전에서 출발하는 회차도 각 길별로 1회씩 운영된다.

* 왕릉팔경 8개 코스: ①<길례(吉禮)-국가의 제를 지내다> 조선왕실 능행길(파주 삼릉)

②<친제(親祭)-몸소 제사를 지내다> 삼전 능행길(남양주 광릉)

③<시취(試取)-특별시험을 열다> 성종 능행길(여주 영릉)

④<복위(復位)-다시 왕이 되다> 단종의 길(영월 장릉)

⑤<시혜(施惠)-은혜를 베풀다> 숙종 능행길(고양 서오릉)

⑥<상언(上言)-백성의 소리를 듣다> 정조 원행길(화성 융릉과 건릉)

⑦<봉심(奉審)-왕릉을 살피다> 대한제국 봉심길(서울 의릉)

⑧<기신(忌晨)-마음을 담다> 순종황제 능행길(구리 동구릉과 남양주 홍릉)

 

 

 

각 길에는 도자기 공예체험, 영월 오일장 체험, 왕릉 석물 모양의 자개 공예체험, 왕릉 숲에서의 소리 치료(사운드 테라피), 음악 공연 등 다양한 체험들이 준비되어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 또한, 참가자 모두에게 이번 「왕릉팔(八)경」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조선왕릉길 윷놀이’를 기념품으로 준다.

 

참가 인원은 회당 25명이며, 8월 21일(9월 예약), 9월 25일(10월 예약), 10월 16일(11월 예약) 낮 11시부터 네이버 예약(https://naver.me/xB43M7q0)을 통해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어른 3만 원, 어린이ㆍ청소년(만 18살 이하) 2만 원), 한 사람당 최대 4명까지 예약할 수 있다. 만 65살 이상의 어르신이나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02-738-4001)으로도 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https://royal.khs.go.kr)과 운영사무국 ㈜여행이야기 누리집(www.travelstory.co.kr/travel/index)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