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과거 현재 미래의 업을 소멸해주는 '범종'

  • 등록 2015.01.27 11:22:51
크게보기

 

   
▲ 범종

   
▲ 종소리를 듣고서 깨침을 이루라는 싯귀

   
▲ 비천상

   
▲ 연꽃무니

 

[한국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여기 설악산 신흥사의 범종처럼 대부분의 사찰에 가면 청동으로 주조한 커다란 범종이 있고 그 종을 매달고 보호하는 범종각이 있다. 은은한 종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혀 주고 그윽한 산사의 풍경을 더욱 더 멋지게 하지만, 종소리는 단순히 그런 의미로만 치는 것은 아니다.

바위 속에서 캐낸 구리 주재료로 니켈 아연등으로 함금하여 용광로에서 함께 녹인 쇳물을 밀랍으로 만든 거푸집에 한 번에 부어 넣어서 만들어 지는 것으로, 불교의 범종은 서양의 기독교 종처럼 안에 매달린  추가 치는 것이 아니라,  범종의 밖에서 당목으로 힘껏 친다.

그 종소리를 듣고서 과거 현재 미래세의 모든 업장을 소멸하고 깨달음의 진리를 체득하길 바라면서...종의 면에는 종을 만들때 시주한 사람들의 명단도 있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비천상도 있고, 깨달음의 세계를 표현한 연화장세계의 상징인 연곷도 있지만, 한 면에는 한시로 표현한 서원이 새겨져 있다.

                    원차종성편법계;       이 종소리 온세계에 두루 퍼져

                     철위유암실개명:       철위산 깊은 곳까지 다 밝아지고

                     삼도이고파도산:       삼세의 고통과 칼산지옥이 없어지고

                     일체중생성정각        일체모든 중생들 깨달음을 이룩하소서

   
▲ 설악산 신흥사 극락보전

 

최우성(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북촌한옥마을 가옥 보수설계, 혜화동주민센타 개보수설계,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문화재청 문화유산사진작가, 불혹의 포토클럽 회원
최우성 기자 cws0108@naver.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