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긍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극찬한 “사자형뚜껑 향로”

  • 등록 2017.10.16 09:55:45
크게보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66]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국보 제60청자 사자형뚜껑 향로(靑磁 獅子形蓋 香爐)”가 있습니다. 이 고려청자는 높이 21.2, 지름 16.3인데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되어 있지요. 또 몸체에는 구름무늬가 가늘게 전면으로 오목새김 되어있고 위쪽의 벌어진 턱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가 보입니다.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앞을 보고 있으며, 두 눈에는 자토(赭土 : 산화철이 포함된 붉은색의 흙)로 점을 찍어 눈동자를 표현했지요. 또 목 뒤쪽과 엉덩이 부분에는 구불구불한 소용돌이 모양의 털이 있고, 꼬리는 위로 치켜 올려 등에 붙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엷은 녹청색의 유약으로 광택이 은은한 이 향로는 몸체 안에서 피운 향의 연기가 사자의 벌려진 입으로 내뿜도록 된 구조입니다. 12세기 전반기에 비취색의 청자가 절정에 달하였을 때 이와 같이 상서로운 동물이나 식물을 본뜬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고려 인종 1(1123)에 고려에 왔던 송()나라 서긍(徐兢)고려도경(高麗圖經)》 「도로조(陶爐條)에서 가장 뛰어난 것으로 극찬한 바 있습니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