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낳는다고 ‘다산채’라고도 불렀던 무

  • 등록 2018.02.13 23:19:37
크게보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53]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처녀에는 총각무, 부끄럽다 홍당무, 여덟아홉 열무,

   입맞췄나 쪽무, 이쪽저쪽 양다리무, 방귀뀌어 뽕밭무,

   처녀팔뚝 미끈무, 물어봤자 왜무, 오자마자 가래무,

   정들라 배드렁무, 첫날신방 단무, 단군기자 조선무,

   크나마나 땅다리무······.”


 

이는 무 밭에서 두 편으로 갈라 무를 뽑으며 부르던 무타령입니다. 무는 배추와 함께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이 먹는 푸성귀(채소)입니다. 무는 철 따라 김치로 담가 먹습니다만 김치 말고도 국이나 조림, 나물, 생채감으로 많이 쓰며, 예전에 겨울철에 채소가 귀할 때에는 무를 말려 두었다가 장아찌나 나물을 만들고, 무청도 말려서 시래기나물을 해 먹었습니다.

 

세종실록18(1436)년 윤629일 기록에 세종이 "무는 구황(救荒)에 있어 크게 유리한 점이 있는 식물이다. 옛 사람이 이르기를, ‘1(, 논밭 넓이의 단위로 30평 곧 약 99.174) 땅에 이를 심으면 1천 명을 살릴 수 있다.’고 하였다.“라고 말합니다. 조선시대에는 무를 구황작물(흉년에 쌀보리 대신 먹을 수 있는 작물)로 본 것이지요. 참고로 예전 여성들은 두 갈래로 갈라진 무가 가장 인기 있었다고 하는데 이 무를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무를 다산채(多産菜)“라고도 부릅니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