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알리는 들꽃 ‘현호색’의 아름다운 아우성

  • 등록 2018.03.11 22:50:50
크게보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71]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우수경칩이 지나고 춘분이 다가오는 지금쯤 온 메()와 들은 소란스러워집니다. 어쩌면 비발디의 사계가 자연 속에서 신나게 연주되고 있음입니다. 가끔 꽃샘바람이 심술을 부리기도 하지만 얼음을 뚫고 봄을 알리는 설중매나 얼음새꽃(복수초), 노루귀, 변산바람꽃들의 아우성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또 그 아우성의 대열에 나도 있다고 고개를 내미는 들꽃에는 신비스럽게 푸른색의 꽃이 피는 키 작은 아이 현호색도 있습니다.


 

현호색(玄胡索)이란 이름은 씨앗이 검은 데서 검을 현() 자가 붙었고, 중국의 하북성 및 흑룡강성 쪽에서 많이 자라 오랑캐 호() 자가 붙었으며, 새싹이 돋아날 때 매듭 모양으로 보인다 하여 꼬일 색() 자가 붙었다고 합니다. 서양 사람들은 현호색의 꽃 모양이 마치 종달새 머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그리스어로 종달새를 뜻하는 코리달리스(Corydalis)라는 이름을 붙였다는데 그래서 현호색이 꽃을 필 때 종달새가 노래하는지도 모릅니다.

 

권혁세가 지은 익생양술대전(학술편수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생 현호색류에는 26종이 있다고 합니다. 그 가운데는 현호색을 비롯하여 난쟁이현호색’, ‘털현호색같은 8가지의 한국특산식물, 귀화식물인 둥근빗살현호색이 있고, 또 잎의 모양이 대나무 잎과 닮았다는 댓잎현호색’, 빗살무늬가 있는 빗살현호색’, 잎이 작은 애기현호색’, 점이 있는 점현호색같은 것들도 있습니다. 현호색은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있지만 물 빠짐이 좋은 곳을 좋아합니다. 현호색의 어린 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고, 잎이 진 뒤의 덩이뿌리는 진통제 효과를 내는데 현호색 본체에는 독이 있어서 조심해야 합니다. 3~4월 메와 들에 가면 이 신비스럽고 예쁜 현호색과 눈맞춤을 해보면 좋을 일입니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