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서울시는 최근 남산 소나무림 조성 및 보전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남산 소나무에 대한 기존의 정책 및 사업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남산 소나무를 명품으로 보전 관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남산 소나무는 수피가 붉으며 수형이 약간 굽고 수려하여 남산 소나무만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같은 종이라고 해도 자라는 환경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역사적으로 1411년(태종) 장정 3000여명을 동원하여 남산에 소나무를 식재(태종실록)하였으며, 이후 국가적인 보호정책으로 소나무를 관리하였다. 그러나 일제시대, 해방 혼란기,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소나무림이 훼손되기도 하였다.
1970년대 전후로 남산 일부 지역에 출입을 제한하며 복원이 시작되었고, 1990년대 ‘남산 제모습찾기 사업’으로 전국의 좋은 소나무를 가져와 심었다. 2007년 남사면 소나무림은 생물다양성 및 역사문화경관 관리를 위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990년대 “남산 제모습 찾기 사업”으로 소나무 18,000여 주를 식재하였으며, 1995년에는 광복 50주년을 맞아 전국에서 가져온 소나무를 식재하여 팔도소나무단지를 조성하였다. 2009년에는 속리산 정이품송 ‘맏이’ 소나무를 식재하기도 하였다.
또한 2004년 “남산 고유 소나무림 보존대책”을 수립하여 남산 소나무 중 우량 수형목을 선정하고, 그 종자를 채취하여 후계목 생산을 하였다. 올 가을, 남산 소나무 후계목 양성을 위해 종자를 채취하여 파종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남산 소나무의 유래과 관리, 생태 보존의 중요성에 대해 전문가의 설명을 듣는 ‘남산 소나무 학교’를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시 중부공원녹지사업소 김인숙 소장은 “남산 소나무의 상징성을 되새기고, 남산을 더욱 아끼고 사랑하는 계기로 만들겠다”며 “앞으로도 남산 소나무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지속적인 보전 관리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