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돌 광복절 기념 <윤봉길 의사 유서> 등 특별공개

  • 등록 2023.08.03 11:40:49
크게보기

“너희에게도 피가 있고 살이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하여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제78돌 광복절을 기려 독립운동가 이봉창·윤봉길 의사의 유품을 특별공개한다. 이번에 특별공개 되는 유품은 보물로 지정된 <이봉창 의사 선서문>, <윤봉길 의사 자필 이력서 및 유서>다. 두 의사는 1931년 김구가 중심이 되어 조직한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의 단원으로 일본의 주요 인사를 암살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봉창 의사 선서문>은 1931년 12월 이봉창 의사가 일왕(日王)을 저격하기 위해 일본으로 떠나기 전 직접 작성한 것이다. 한인애국단 1호 입단 선서문이자 조국 독립을 위한 투쟁을 다짐하는 내용이다. 이 선서문을 가슴에 걸고 태극기 앞에서 폭탄 2개를 손에 쥐고 찍은 사진이 전한다.

 

<윤봉길 의사 자필 이력서 및 유서>는 1932년 훙커우 공원 거사 직전 공책에 직접 쓴 것이다. 상해에 오기 전까지 본인의 삶을 요약한 이력서, 어린 두 아들에게 남긴 유서, 거사 전날 훙커우 공원을 답사한 뒤 쓴 시, 김구 선생에게 남기는 시 등이 적혀있다. 특히 강보(襁葆, 포대기)에 싸인 어린 두 아들에게 “반드시 조선을 위하여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라고 당부하는 유서에서는 만 24살의 나이에 목숨을 바친 윤봉길 의사의 독립을 향한 간절한 마음을 읽을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태극기인 <데니 태극기>(보물) 또한 대한제국실에 함께 전시된다. <데니 태극기>는 고종이 외교고문이었던 미국인 데니(Owen N. Denny, 1838~1900)에게 하사한 태극기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