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수업 전 우리말대학원장]
‘속’과 ‘안’은 본디 아주 다른 낱말이지만, 요즘은 모두가 헷갈려 뒤죽박죽 쓴다.
· 속 : ① 거죽이나 껍질로 싸인 물체의 안쪽 부분.
② 일정하게 둘러싸인 것의 안쪽으로 들어간 부분.
· 안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표준국어대사전》
국어사전의 풀이만으로는 누가 보아도 무엇이 다른지 가늠하기 어렵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 밖에도 여러 풀이를 덧붙여 달아 놓았으나, 그것은 모두 위에서 풀이한 본디 뜻에서 번져 나간 것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다. 본디 뜻을 또렷하게 밝혀 놓으면 번지고 퍼져 나간 뜻은 절로 졸가리가 서서 쉽게 알아들을 수가 있다. 그러나 본디 뜻을 흐릿하게 해 놓으니까 그런 여러 풀이가 사람을 더욱 헷갈리게 만드는 것이다.
우선 ‘속’은 ‘겉’과 짝을 이루어 쓰이는 낱말이고, ‘안’은 ‘밖’과 짝을 이루어 쓰이는 낱말이다. “저 사람 겉 다르고 속 다른 데가 있으니 너무 깊이 사귀지 말게.” 하는 말은 ‘겉’과 ‘속’을 아주 잘 짝지어 쓴 보기다. 여기서 ‘겉’은 바깥으로 드러나서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는 행동과 말 따위를 뜻하고, ‘속’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귀에 들리지도 않도록 감추어진 마음씨를 뜻한다.
“안에서 새는 쪽박이 밖에선들 새지 않을까!” 하는 속담은 ‘안’과 ‘밖’을 아주 잘 짝지어 쓴 보기다. 여기서 ‘안’은 집의 울타리 안으로, 마당이든 부엌이든 마루든 방이든 빈자리를 두루 싸잡아 뜻한다. 그리고 ‘밖’은 집의 울타리 밖으로, 골목이든 마을이든 논밭이든 빈자리를 두루 싸잡아 뜻하고 있다.
‘속’은 ‘겉’과 둘이 서로 하나가 되어 갈라놓을 수 없도록 붙어 있지만, ‘안’은 ‘밖’과 둘이 따로 갈라져 서로 나뉘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속’의 쓰임새로, “사람 하나 겨우 들어갈까 말까 한 좁은 골목 속에 쓰러져 가는 판잣집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 서 있었다.” 하는 월을 내놓았는데, 이는 잘못 쓴 보기로 내놓아야 마땅하다. 골목은 ‘겉’과 ‘속’이 서로 붙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안’과 ‘밖’으로 서로 나뉘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의 쓰임새로 내놓은 “지갑 안에서 돈을 꺼내다.” 하는 월 또한 잘못 쓴 보기로 내세워야 마땅하다. 지갑은 ‘안’과 ‘밖’으로 따로 갈라져 서로 나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속’과 ‘겉’으로 서로 붙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속’은 빈자리가 없는 것이고, ‘안’은 빈자리가 있는 것이다. “겉보기보다 속은 싱싱하고 맛도 좋습니다.”라는 말은 사과 같은 과일을 깎아 먹으면서 흔히 하는 말인데, 과일 속은 빈자리가 없다. “얼마든지 벗겨 봐, 양파 속이 어디 드러나나!” 하듯이 양파 속도 빈자리가 없다.
그런데 “버선이라 속을 뒤집어 보일 수가 있나!” 할 적에, 버선은 속에 빈자리가 있는 듯도 하지만 따지고 보면 버선, 지갑, 주머니, 호주머니 같은 것도 물건이 비집고 들어가서 자리를 만들어 차지할 수는 있지만, 여느 때에는 빈자리로 있는 것이 아니다. 한편, “독 안에 든 쥐다.”라든지 “방 안이 너무 어둡지 않아?” 할 적에, 안은 반드시 빈자리가 있는 것이다. 짝을 이루는 반대말 ‘밖’이 빈자리로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