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4. 보기드문 무과 과거시험 그림을 본적 있나요?

  • 등록 2011.03.29 22:45:02
크게보기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어떻게 치러졌을까요? 여기 그 자세한 내용이 담긴 그림이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한시각의 “북새선은도(北塞宣恩圖)”가 그것인데 세로 57.9cm, 가로가 674cm로 아주 큽니다. 한시각은 조선 중기의 화가로 통신사를 따라 일본에 건너가서 대나무 그림 2폭을 그리기도 했고, 송시열의 초상화도 그렸다고 전해지지요.

<북새선은도>는 화원화가인 한시각(韓時覺)이 1664년(현종 5년) 함경도 길주목에서 있었던 무과 과거 시험 장면을 그린 기록화입니다. 이 그림은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그리는 방법 곧 부감법(俯瞰法)으로 그렸는데 새가 높이 날아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 같다 하여 조감법(鳥瞰法)이라고도 합니다.

특히 이 그림은 드물게도 무과 시험 장면을 그린 것이지요. 문과시험을 주제로 그려진 그림은 흔하지만 무과시험 장면을 담은 그림은 아주 드뭅니다. 더구나 북새선은도는 무과시험장 주변에 휘날리는 군기와 천막들, 활 쏘는 모습, 표적의 모양 등을 생생히 묘사하고 있어 역사적 자료 가치가 특별히 더 높습니다. 또 이 그림은 기록화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17세기 실경산수화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지금처럼 사실을 사진으로 찍을 수 없었던 시절 <북새선은도>처럼 기록화는 우리에게 소중한 자료를 전해줍니다. 


          
솔솔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