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40. 조선시대의 아름다운 신발들

  • 등록 2012.07.11 07:13:34
크게보기

   

우리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바지저고리, 배자와 두루마기 같은 한복을 입었음을 잘 압니다. 그런데 신은 무얼 신었을까요? 물론 백성이야 짚신을 신었지만 양반들은 가죽으로 지은 갖신을 신었습니다. 그 갖신으로는 태사혜, 당혜, 운혜, 흑혜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먼저 태사혜(太史鞋)는 코와 뒤에 태사라 하는 흰 줄무늬를 새긴 남자용 신입니다. 흔히 사대부나 양반계급의 나이 많은 사람이 평상시에 신었는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고종이 신었다는 태사혜 한 켤레가 있지요. 조선 말기에 와서는 임금도 웅피혜(熊皮鞋, 곰가죽 신)나 녹피혜(鹿皮鞋, 사슴가죽 신) 아닌 태사혜를 신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무백관들이 조정에 나갈 때는 검정 가죽으로 지은 흑피혜(黑皮鞋)를 신었지요.

또 당혜(唐鞋)는 조선시대 부녀자가 신던 갖신을 이릅니다. 코와 뒤꿈치에 당초문(唐草文)을 놓아 만든 마른 신으로, 안은 융 같은 푹신한 감으로 하고 거죽은 가죽을 비단으로 싸서 만들었지요. 이밖에 부녀자들은 구름무늬가 수놓아진 운혜(雲醯)도 신었습니다. 요즘 어떤 이들은 한복에 고무신을 신습니다. 그러면서 고무신이 한복의 기본인 줄 아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고무신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한복에 고무신은 갓 쓰고 청바지 입은 격입니다. 요즈음은 한복에 맞는 태사혜 같은 갖신이 많이 나와 있으니 한복과 어울리는 신을 갖춘다면 훨씬 품위가 있을 것입니다.

김영조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