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로는 24절기의 열일곱 번째로 추분과 상강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9월, 양력으로 10월 8일경이다. 해는 황경 195도의 위치에 온다. 한로는 찰 '한(寒)', 이슬 '로(露)'로 공기가 차츰 선선해지면서 이슬(한로)이 찬 공기를 만나서 서리로 변하기 직전이고, 세시명절인 음력 9월 9일 중양절(重陽節)과 비슷한 때이다.
옛 사람들은 한로 때를 3후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중후(中候)에는 참새가 적어지며, 말후(末候)에는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하였다. 이때는 오곡백과를 수확하고, 타작이 한창인 시기이다. 또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 대신에 기러기 등 겨울새가 오는 때이다. 한로를 전후하여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술을 담그며, 온갖 모임이나 놀이가 성행한다.
이때쯤 높은 산에 올라가 수유(茱萸)열매를 머리에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는데, 이는 수유열매가 붉은 자줏빛으로 붉은색이 귀신을 좇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한로와 상강에는 시절음식으로 추어탕(鰍魚湯)을 즐겼다. <본초강목>에는 미꾸라지가 양기(陽氣)를 돋우는데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을(秋)에 누렇게 살찌는 가을 고기라는 뜻으로 미꾸라지를 추어(鰍魚)라 했을 것으로 보인다.
지킴이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