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옹(華山翁) 바위의 전설
[그린경제=제산 기자] 남원에서 서쪽으로 50여리 떨어진 순창군 적성면 고원리에 책여산(冊如山)이라는 명산이 있다. 산 중턱에 화산옹이라는 이름의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보는 위치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 옆에서 보면 흡사 가을 메뚜기가 벼 이삭에 앉아 입질하는 것 같고 뒤에서 보면 몸집이 우람한 장군이 투구를 쓴 것 같다. 앞모습은 도포 입은 백발노인옹이요. 머리는 영락없이 미륵불이다. 그래 그런지 별명도 가지가지다. 메뚜기바위. 장군바위. 미륵불. 화산옹. 아마도 이렇게 많은 별명을 여러 개 가진 명물도 없을 것이다. 아득한 옛 날부터 화산옹은 신기한 위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풍년이 들려면 아름다운 백색을 띄웠고 흉년이 들려면 흑색을, 큰 불이 나거나 돌림병이 퍼질 때에는 청색을 띄었다. 그리고 전쟁이나 천재지변이 일어날 때에는 적색으로 변했다. 그것만이 아니었다. 행인이 채계산(책여산)을 지나갈 때, 화산옹에게 경의를 표하고 가면 무사하거니와 만일 그렇지 않으면 다리를 삐거나 하는 사고를 당하기 일 수였다. 말이나 수례 탄 이도 이와 같았다. 그리하여 화산옹은 외경과 민간신앙의 기복 대상이 되었으니, 흉년이 들면 고을 원님이 화산옹에게 기우제를 드렸고 불임여성은 아기를 점지 받으려고 새벽에 정화수를 떠 올리고 백일 치성을 올리기도 했다. 어느 날 전라감사 김 삼봉이 금감주에 은투구를 쓰고 백마에 높이앉아 수십명의 수하들을 거느리고 위풍도 당당하게 그곳을 지나가고 있었다. 아장이 하마하여 화산옹에게 예를 올리고 갈 것을 권유하자 감사는 더욱 거드름을 피웠다. “요망스런 바윗덩이가 무엇이건데 대장부의 기개를 꺽는단 말이냐? 라고 호통을 치고는 장검을 뽑아 화산옹을 내려치자 어깨가 떨어져 데굴데굴 굴러 그 아래 섬진강 물속으로 빠져 버렸다. 그 뒤로 화산옹은 영험을 잃어 괴병과 재앙이 그치지 않더니 지기(地氣)마져 쇠해져 적성현이 폐지되어 버렸다.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일이라고 한다. 현재 화산옹은 최치원 선생의 탄생설화와 관련이 있는, 그 뒤 상봉에 있는 금돼지 굴과 더불어 책이산의 관광명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출전 : 구비설화. 화산옹 안내판 > |
遊華山(유화산) 화산에서 놀다.
步上半空塵念收(보상반공진념수) |
걸어서 반공에 오르니 진념이 싹가시고 |
Enjoying at Hwa Mountain |
|
Climbing up lessens the thoughts of the land down there |
◇작자(作者)소개
이지위 : (?~?), 호는 양묘당(養苗堂), 한학자(漢學者), 평생을 후진 양성에 힘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