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학교 명예교수]
정도전 (1342, 충혜왕 복위 3~ 1398, 태조 7) -②
정도전은 조선전기 정치인이자 학자이다. 조선의 정신적 기틀을 세운 인물이다. 호는 삼봉(三峰)이다
활동사항
정도전은 문인이면서 동시에 무(武)를 겸비했고, 성격이 호방해 혁명가적 소질을 지녔으며,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의론(議論)이 정연했다고 한다.
그는 오랫동안 유배ㆍ유랑 생활을 보내면서 곤궁에 시달렸다. 더욱이, 부계혈통은 향리(鄕吏)의 후예로서 어머니와 아내가 모두 연안 차씨(延安車氏) 공윤(公胤)의 외가 쪽의 서자였다. 특히 모계에 노비의 피가 섞여 있었다.
이러한 혈통 때문에 권문세족이나 명분을 중요시하는 성리학자들로부터 백안시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선시대에도 3대 종 집안의 하나라는 세인의 평을 받았다.
그가 청ㆍ장년의 시기를 맞았던 고려 말기는 밖으로 왜구ㆍ홍건적의 노략질로 나라 안이 어수선했고, 안으로는 권문세족의 횡포로 정치기강이 무너지고 민생이 몹시 고단하였다. 이러한 때에 9년 동안의 시련에 찬 유배ㆍ유랑 생활은 그에게 나라를 사랑하고 백성 사랑 의식을 깊게 만들었으며, 그의 역성혁명(왕조가 바뀌는 일) 운동은 이러한 개혁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된다.
그의 개혁운동이나 그에 수반된 왕조 건국사업은 단순한 정치적 실천 운동으로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제도로서 정착시켜 사상 · 제도상으로 조선의 기초를 놓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발견된다.
정도전의 사상
정도전은 《학자지남도(學者指南圖)》ㆍ《심문천답(心問天答)》(1375)ㆍ《심기리편》(1394)ㆍ《불씨잡변》(1398) 등의 철학서를 차례로 저술해 고려 귀족사회의 정신적 지주였던 불교의 사회적 폐단과 철학적 비합리성을 비판, 공격하고, 성리학만이 실학(實學)이요 정학(正學)임을 이론적으로 정립해 유교 입국의 사상적 기초를 다졌다.
한편 주자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이단시하는 공리적 사상(功利的思想)이나 부국강병에 유용한 제도ㆍ문물에 대해서는 포용적이었다.
그것은 주자학만으로는 당시의 시대적 과제인 부국강병 달성이나 천민ㆍ서얼의 인심을 거둠, 무인세력의 지위 안정, 무전농민(無田農民)의 구제 등 새 왕조 개창에 필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까닭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층신앙(基層信仰)으로 굳어진 불교ㆍ도교ㆍ참설(讖說) 등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그의 사상체계는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음성적으로 이단을 포용하는 절충적이었음이 특색이다.
그의 경세론(經世論)은 《조선경국전》(1394)ㆍ《경제문감》(1395)ㆍ《경제문감별집》 등에 제시되어 있다.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 1394년(태조 3년) 음력 3월에 저술한 조선 왕조의 건국이념과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에 대한 기본 방향을 설정한 헌장 법전이다. 치(治)․부(賦)․예(禮)․정(政)․헌(憲)․공(工)의 6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마디로 나라의 헌법과 같은 법전이다. 이후 1460년 세조 때 시작되어 1471년 성종 때 완성된 《경국대전》을 비롯한 조선왕조 법전 편찬의 바탕이 된 책이다.
내용은 크게 ‘임금이 할 일’과 ‘신하가 할 일’로 나뉘어 있는데, 이것을 임금과 정부로 보기도 한다. 이 법전에서 정도전은 임금의 할 일로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정보위(正寶位) : 보위를 바르게 함이다. 국호(國號)ㆍ정국본(定國本, 국본-國本 곧 세자)을 정함)ㆍ세계(世系)ㆍ교서(敎書)고, 신하의 할 일로서 아래의 육전(六典)을 설치하여 각 전의 관할 사무를 규정하고 있다. 치(治) · 부(賦) · 예(禮) · 정(政)· 헌(憲)이다.
특히 조선의 통치규범을 종합적으로 제시한 《조선경국전》은 《주례(周禮)》에서 재상 중심의 권력체계와 과거제도, 병농일치적인 군사제도의 정신을 빌려오고, 중국의 제도에서 부병제(府兵制)ㆍ군현제(郡縣制, 守令制)ㆍ부세제(賦稅制)ㆍ서리제(胥吏制)의 장점을 받아들였다. 또, 명나라로부터는 《대명률(大明律)》을 빌려왔다.
·《경제문감》은 재상ㆍ감사ㆍ대간ㆍ수령ㆍ무관의 직책을 차례로 논했다.
·《경제문감별집》에서는 군주의 도리를 밝혔다. 그가 이상으로 생각하는 정치제도는 재상을 으뜸 실권자로 하여 권력과 직분이 분화된 합리적인 관료지배체제이며, 그 통치권이 백성을 위해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민본사상을 강조하였다. 통치자가 민심을 잃었을 때는 물리적인 힘으로 교체될 수 있다는 역성혁명(易姓革命)을 긍정했고, 실제로 혁명 이론에 입각해 왕조 교체를 수행하였다.
정도전은 사ㆍ농ㆍ공ㆍ상의 직업분화를 긍정하고, 사를 지배층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사의 직업은 도덕가ㆍ철학자ㆍ기술학자ㆍ교육자ㆍ무인 등의 역할을 겸비해야 하고 사에서 능력 위주로 관리가 충원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또한, 적서(嫡庶)나 양천(良賤)과 같이 혈통에 의한 신분차별을 주장하지 않은 것이 주목된다.
여말에 나라가 가난하고 민생이 피폐하였던 현실을 극복하기 백성의 수에 따른 토지재분배와 공전제(公田制) 및 10분의 1세의 확립, 공(工)ㆍ상(商)ㆍ염(鹽)ㆍ광(鑛)ㆍ산장(山場)ㆍ수량(水梁)의 국가 경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경세론은 자작농의 광범한 창출과 산업의 공영을 통해 부국강병을 달성하고, 능력에 토대를 둔 사 위주의 관료정치를 구현하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의 개혁안은 상당 부분이 법제로서 제도화되었지만 모두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저서로 그밖에 경세(經世)에 관한 것으로 《경제의론(經濟議論)》ㆍ《감사요약(監司要約)》이 있으나 지금은 전하지 않고, 고려 역사를 편년체로 엮은 《고려국사》가 있다. 이 책은 뒤에 김종서(金宗瑞) 등이 펴낸 《고려사절요》의 모체가 되었으나 지금 전하지 않는다.
이 밖에 병법에 관한 것으로 《팔진36변도보(八陣三十六變圖譜)》ㆍ《오행진출기도(五行陣出奇圖)ㆍ《강무도(講武圖)》ㆍ《진법(陣法)》 등이 있다. 의서(醫書)로는 《진맥도결(胗脈圖訣)》, 역산서(曆算書)로서 《태을72국도(太乙七十二局圖)》와 《상명태을제산법(詳明太乙諸算法)》 등이 있다.
그는 또 많은 악사(樂詞)를 지어 <문덕곡> · <몽금척> · <수보록> · <납씨곡 納氏曲> · <정동방곡(靖東方曲)> 등을 남겼으며, 회진현의 유배시절과 삼각산 · 부평 · 김포 · 영주 등지에서의 방랑시절에 쓴 수많은 시문이 지금 《삼봉집》』에 전해지고 있다.
《금남잡영(錦南雜詠)》과 《금남잡제(錦南雜題)》는 특히 유배시절의 시문을 모은 것으로 그의 시련기의 사상을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이다. 《삼봉집》은 1397년(태조 6)에 처음 펴냈고, 1487년(성종 18)에 중간되었다. 그 뒤 1791년(정조 15) 빠진 것을 거둬 재간했으며, 이것이 오늘날 전해지고 있다. (참고: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