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가장 좋아하는 소나무숲, 미래 관리방안 찾기

2024.06.15 11:43:30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인과 소나무》 연구신서 펴냄 기림 연구회 열어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6월 13일 산림과학관에서 ‘한국인과 소나무 – 우리 소나무의 과거와 미래, 보전과 공존’이라는 주제로 연구회를 열었다. 우리나라 국민은 1991년부터 2023년까지 32년 동안 수행된 8번의 수종 선호도 조사에서 2위와 많은 차이를 보이며 소나무를 1순위로 꼽았다. 이번 연구회는 《한국인과 소나무 : 소나무 선호의 역사ㆍ문화적 기원》을 밝히는 연구신서 펴냄을 기리기 위해 마련되었다.

 

 

 

연구신서는 ‘한국인은 소나무를 왜 가장 좋아하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기획된 책이다.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까닭을 조선 후기에 형성된 세 가지 측면에서 찾았는데, 모든 나무 가운데 소나무가 으뜸이라는 유교적 상징성(으뜸나무), 송정(松政, 소나무를 심고 가꾸는 데 관한 정책이나 행정)으로 대표되는 나라로부터 강제된 소나무의 중요성(중요한 나무), 우리 주변에서 늘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소나무의 접근성(늘 보는 나무)에 있다고 보았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립산림과학원 배재수 원장의 「한국인은 왜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가?」라는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소나무 목재 활용의 변천사」(충북대 서정욱 교수), 「소나무 유전자원 보전의 의미」(안지영 박사), 「송계와 산림거버넌스 구축」(성균관대 배수호 교수), 「북한의 소나무숲 현황과 사회적 인식」(오삼언 박사), 「소나무숲의 변화와 보전ㆍ관리 방안」(김은숙 박사) 발표와 함께, 목재, 문화재, 산림생태, 시민사회단체, 언론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 소나무 보전과 공존 방안을 토론하였다.

 

 

세미나에서는 우리나라 소나무의 중요한 역사문화적 값어치와 경제적 혜택을 유지하면서도 기후변화와 산림생태계의 변화와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소나무숲의 새로운 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특히 소나무의 역사문화적 값어치를 계승하기 위해 법적 보호를 받는 중요 소나무와 소나무숲의 보호 체계 강화, 문화재복원용 소나무숲의 정밀 관리, 마을 소나무숲의 공동체적 관리, 소나무의 유전적 다양성의 보전ㆍ관리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토론이 이루어졌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연구신서 펴냄과 연구회가 “우리나라의 소나무 문화와 소나무에 대한 국민 선호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한편, 기후변화와 산림재해로 위기에 직면한 우리 소나무숲의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연구신서는 국립산림과학원 누리집(https://book.nifos.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이한영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