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9. 가난한 백성들의 중요한 끼니거리 나물

  • 등록 2011.03.09 04:39:51
크게보기


나물은 푸성귀(채소)나 산나물 ·들나물 ·뿌리 등을 데친 다음 갖은양념에 무쳐서 만든 반찬을 말하지요. 그 종류를 들어보면 애호박나물·오이나물·도라지나물·숙주나물·시금치·쑥갓·미나리·고춧잎·깻잎·무나물·콩나물·고사리·고비·취나물·시래기나물·가지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건강식으로 인기를 끄는 이 나물이 조선시대에는 가난한 백성이 끼니를 때우는 구황식품이었습니다. 조선왕조 500년 가운데 가장 태평성대였다는 세종 때인 1444년 4월 23일 자 세종실록을 보면 병조 판서 정연(鄭淵)이 임금께 보고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곧 청안(淸安, 현재 충북 괴산 부근) 지방에 갔을 때 남녀 30여 명이 모두 나물을 캐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나물만 먹은 얼굴빛이었다는 것입니다. 또 나물을 캐는 백성이 들판을 덮고 있었다며 백성들의 배고픔을 걱정하는 내용이지요.

“다북쑥을 캐네 / 다북쑥을 캐네 / 다북쑥이 아니라 새발쑥이네 / 양떼처럼 떼를 지어 저 산등성이를 넘어가네 / 푸른 치마 붉은 머리 허리 굽혀 쑥을 캐네 / 다북쑥을 캐어 무얼 하나 눈물만 쏟아지네” 다산 정약용이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쑥을 캐어 죽을 쑤어 먹는 백성들을 보고 쓴 <다북쑥>이란 시입니다. 죽도 곡식과 함께 쑤어야 죽다운 맛이 나는데 쑥만으로 죽을 쑤었으니 오죽했을까요? 요즈음 우리들이 먹는 나물은 갖은 양념으로 밥맛을 돋구는 음식이니 예전 구황식물로 먹던 나물과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됩니다.



                           
솔솔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