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송강 정철을 알기나 하나?

2013.05.20 11:53:46

[고양문화통신 5] 송강정철의 제2의 고향을 찾아서

[그린경제=이윤옥 문화전문기자]

 신원(新院) 원주 되어 사립문 고쳐 닫고
유수청산을 벗 삼아 던졌노라
아이야 벽제(碧蹄)에 손이라 하거든 날 나갔다 하여라

* 신원(新院) : , 고양시 신원동을 말함
* 벽제(碧蹄) : 옛 고양군에 있던 벽제관역()

고양시 신원동에는 윤선도·박인로와 함께  국문학사에 빛나는 3대 시인으로 꼽히는 송강 정철(1536~1593)10년간 머물렀던 송강마을이 있다. 이곳에서 그는 35살 되던 해 부친상을 당해 3년간 시묘살이를 했고 이어 38살에는 모친상으로 다시 3년간 시묘살이를 했다. 또한 나이 50살에는 정치 일선에서 떠나 4년간 이곳에서 자연을 벗하며 지냈다. 그리고 강화 유배지에서 죽은 뒤에는 송강마을 뒷산에 부모님과 나란히 묻혔다. (사후 71년째에 충북 진천으로 이장) 


   

                  ▲ 송강마을 안쪽 송강문학관 앞에 세워진 안내문


어버이 살아 실 제 섬길 일란 다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닯다 엇지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위는 송강 정철의 훈민가(訓民歌)의 하나로 송강이 고양땅에 머물렀을 때 지은 시이다. 양친을 모두 이곳 고양땅에 묻은 송강은 시묘살이만도 6년을 했는데 그는 평소 술을 즐겨 마셨다.  


재 넘어 성 권롱 집에 술 익단 말 어제 듣고
누은 소 발로 박차 언치 놓아 지즐 타고
아희야 네 권롱 계시냐 정 좌수 왔다 하여라”  


송강은 술 익는다는 소리만 들려도 달려갈 만큼 술을 즐겼다. 이로 말미암아 '대신으로서 주색(酒色)에 빠졌으니 국사를 그르칠 수밖에 없다'는 안덕인의 논계가 빗발쳐 파직된 뒤 명천·진주·강계 등지로 유배생활을 하기도 했을 만큼 술과 친했다. 뿐만 아니라 송강의 장진주사(將進酒辭)도 신원동에서 지었다


   
                                           ▲ 송강 정철의 시비



한 잔 먹세 그려 또 한 잔 먹세 그려
꽃 꺾어 산() 놓고 무진무진 먹세 그려
이 몸 죽은 뒤에 줄로 꽁꽁 묶어진 채
지게 위에 거적 덮어 무덤으로 메고 가니
억세 속세 떡깔나무 은백양이 우거진 숲 속에서
누런 해 밝은 달 가랑비 함박눈 회오리바람 불적에
그 누가 날 보고 한 잔 먹자 하리요.” 


술을 좋아하고 자연을 벗하면서 생을 마감했으면 좋았을지 모를 송강은 그러나 한평생 정치인으로서 붕당정치의 한가운데서 살아야했다. 누이가 인종(仁宗)의 귀인(貴人)이 된 이래 어린 몸으로 궁궐에 자주 드나들면서 왕세자인 명종(明宗)과 친하게 지내면서 궁궐 분위기를 익혔던 송강은 1545(인종 1) 을사사화로 맏형이 죽고 아버지가 유배를 당하는 바람에 아버지를 따라 전남 담양에 내려가 한동안 살았다 


   

              ▲ 송강이 낚시 하던 송강 낚시터 (왼쪽) 안내문


그곳에서 김인후·송순·기대승 같은 쟁쟁한 학자들과 만나 수학하게 되었으며 이이·성혼·송익필 등과 교유했다. 1562년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명종으로부터 사헌부 지평을 제수 받았으나 처남을 살해한 경양군(景陽君)의 처벌문제에서 강직하고 청렴한 자세를 고집하여 명종의 뜻을 거슬러 말직에 머물렀다.  


그러나 그의 높은 학식과 인품으로 율곡 이이와 함께 독서당(讀書堂)에 뽑혔으며 수찬·좌랑·종사관·교리·호남어사 등을 지냈다. 그러는 도중에 1571년 부친상을, 1574년 모친상을 당해 고양시 신원동에 무덤을 쓰고 시묘살이를 하게 되면서 고양땅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이다. 


   

              ▲ 송강마을 앞에 세워진 송강을 기리는 돌비석들


송강은 기축옥사(己丑獄事, 1589년 정여립의 모역사건을 계기로 동인과 서인들 사이에 벌어진 세력 다툼)의 중심인물로 알려졌다. 강직하고 청렴하나 융통성이 적고 안하무인격으로 행동하는 성품 탓에 동서 붕당정치의 와중에 동인으로부터 간신이라는 평을 들었다.  


굴곡 많은 정치가로서의 삶을 사는 동안에도 그는 예술가로서의 재질을 발휘하여 국문시가를 많이 남겼는데 사미인곡〉〈속미인곡〉〈관동별곡〉〈성산별곡과 시조 100여 수는 국문시가의 질적·양적 발달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가사작품은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린 걸작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송강의 부모님 무덤. 이곳에 송강도 묻혔다가 사후 71년째 되던 해에 석주 권필이 무덤자리가 안 좋다고 하여 아무 연고도 없는 충북 진천으로 이장하게 되었다.


 송강이 30대의 황금기에 시묘살이로 6년을 보냈고 원숙기인 50대에 4년을 합쳐 모두 10년을 살던 고양시 신원동에는 현재 송강의 부모와 장남 등 가족 무덤이 그대로 있으며 사랑하던 기생 강아(江娥) 아씨 무덤도 전해지고 있다. 또한 울적할 때 낚시를 하던 송강낚시터와 송강보, 송강고개가 있으며 송강마을 앞에는 송강을 기리는 시비가 여러 개 세워져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53일에는 제11회 송강문학축제도 열려 송강마을 다운 면모를 이어가고 있기는 하지만 체계적인 송강마을로 관리되려면 고양시의 전폭적인 관심과 투자가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600억 원을 들여 완성했다는 담양의 가사문학관 수준은 못되더라도 가사문학의 대가인 송강 정철이 인생의 황금기를 보내고 주옥같은 시를 수없이 쏟아낸 이곳을 고양시가 방치하다시피 하는 것은 고양 600년을 맞이한다고 요란을 떠는 고양시의 위상에도 맞지 않다고 본다 


   

                    ▲ 고양에서 지은 훈민가


그나마 송강의 유적을 부여잡고 사재를 털어 이 만큼이나마 지키고 있는 것은 이은만 전 고양문화원장의 숨은 노력의 공이 아니고는 불가능 한 일이라고 뜻있는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하지만 개인이 대문호를 기리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다. 


송강문학이 위대하다면 그의 숨결이 배인 곳에 번듯한 문학관(현재 있는 송강문학관은 개인이 어렵게 명맥만 유지)을 짓고 그곳에서 끊임없는 문학강좌를 열고 시짓는 소리가 끊이질 않게 해야 한다. 담양의 가사문학관처럼 말이다. 


정부와 고양시가 무관심한 동안 세계의 시성(詩聖)이 머물던 송강마을은 잡풀만 무성하였고 그러는 사이에 그 틈을 헤집고 들어온 고깃집만 즐비하여 송강이 누군지도 모르는 부모들은 오늘도 아이들에게 갈비만 사 먹이기 바쁘다.  


푸르른 5! 송강마을을 둘러보고 송강낚시터를 거닐며 공릉천의 송강보(松江洑)에 한가로이 놀고 있는 물새들을 바라다보며 이곳에서 훈민가’ ‘장진주사등 국문학사에 큰 획을 그은 한글시를 쏟아낸 420년 전 정송강의 삶을 되새겨 보았다. 우린 진정 송강의 문학을 알기나 하는 걸까?


 <찾아 가는 길>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
*내비게이션에 송강마을을 치면 쉽게 갈 수 있다.
대중교통의 경우는 3호선 원당역에서 850번 버스를 타고 송강마을 앞에서 내리면 된다.


 

 
 
** 이윤옥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들의 도시 고양"에 둥지를 튼 지도 어언 17년째이다. 문화행위가 점점 껍데기와 이벤트성으로 흘러가는 시대일수록 자신이 살고 있는 고장에 대한 깊이있는 성찰과 역사공부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제대로 알려주는 사람은 없다. 글쓴이는 2006년에 편찬된 고양시사7권에 집필위원으로 참여 한바 있다. 그때 속속들이 소개하고 싶은 고양문화와 역사이야기를 따로 뽑아 두었는데 이제 그 이야기보따리를 얼레빗 신문을 통해 풀어내고자 한다.


이윤옥 기자 59yoon@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