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양반ㆍ비비 재담 넘기

2022.09.09 11:02:51

[우리문화신문=이달균 시인]  

 

   쳐 죽일

   비비놈아

   비비야

   비비선생

 

   비비새, 비비추는

   내 익히 들었다만

   무신 책, 무신 장면에

   등장하는 이름인고?

 

   책만 잡았다 하면 눈꺼풀이 축 처지니

   설령 읽었다 한들 기억이나 나겠느냐

   인명 편 찢어진 부분에 살짝 나오고 없느니라

 

   아하! 그 찢어진 책?

   나도 전에 읽었다오

 

   근데 참말로

   무엇이든 다 잡아묵소?

 

   생고기 썩은 고기도

   안 가리고 잡수신다

 

   자란만 갱물에 사는

   치들도 잡아묵소?

 

   치라쿠모 멸치 꽁치에

   털치 준치 말하는가?

 

   만난 것, 아작을 내어

   비늘 째 먹고 싶다

 

   펄펄 튀는 여치에

   뻔득뻔득 산갈치

 

   뿔 두 개에 다리가 넷,

   꼬리 달린 송치*는?

 

   육회든 숯불구이든

   통째로 씹어보자

 

   입은 욕바가지

   마음은 놀부 심보

 

   대가리는 꼴통에다

   뱃거죽은 똥자루인

 

   양반도 설마 묵겄나

   이것만은 못 묵겄제?

 

   쟁반 위의 양반이라!

   듣던 중 반가운 소리

 

   딱 한 놈 모자라는

   백 놈을 먹었으니

 

   승천이 머잖았구나

   고맙도다 횟감이여

  

※송치: 송아지의 경상도 방언

 

 

 

 

<해설>

 

오광대놀이에선 주로 춤으로만 이야기한다. 그런데 흥이 나면 간혹 재담을 넘기도 한다. 이를테면 “자란만 갱물에 사는 / 치들도 잡아 묵소? / 치라쿠모 멸치 꽁치에 / 털치 준치 말하는가?” 이런 재미있는 말부림도 슬쩍 마당놀이에서 할 때가 있다.

 

시에서는 재담의 한 부분을 내 나름대로 원용하여 쓴 것이다.

“대가리는 꼴통에다 / 뱃거죽은 똥자루인”, “쟁반 위의 양반이라! / 듣던 중 반가운 소리” 등은 시인이 그 흐름에 맞춰 만들어 본 말들이다.

 

양반은 양반대로 비비는 비비대로 서로서로 말을 주워섬기며 극을 좀더 극적으로 끌어가는 것이다.

 

 

이달균 시인 moon150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