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청각’은 한국 근현대사의 아픈 이야기

2024.02.15 11:22:00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 출판기념회 열려
석주 이상룡 선생 증손 이항증 씨 책 펴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14일) 낮 12시, 서울 서대문에 있는 순국선열유족회(회장 이동일) 강당에서는 아주 조촐한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이날의 주인공은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디플랜네트워크 출판)》라는 책을 쓴 석주 이상룡(石洲 李相龍 1858-1932) 선생의 증손자인 이항증 씨였다. 밖의 날씨는 다소 풀렸지만, 출판기념회가 열리는 지하 강당은 온기가 없이 축하하러 온 삼십여 명의 어르신들의 체온으로 지탱했다.

 

요즘은 별 의미 없는 책 한 권을 내도 화려한 호텔이나 그럴싸한 기념관을 빌려 호화판 출판기념회를 하는 세상인 것에 견주면 대한민국 초대 국무령(대통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 증손자 출판기념회 치고는 소박하다 못해 다소 쓸쓸한 분위기였다. 그러나 열기만큼은 어떤 출판기념회 못지않은 뜨거웠다.

 

 

“경북 안동에 있는 <임청각(臨淸閣)>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500년이 된 고성 이씨의 종택이다. 이곳은 임시정부 수반이었던 국무령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이자, 선생의 형제와 아들 손자 등 독립운동가 11명을 배출하는 등 4대에 걸쳐서 독립운동을 한독립운동의 산실이다. 어찌 이뿐인가. 사위와 처가 쪽에서도 40여 명의 독립운동가가 나왔기에, 임청각은 존경이라는 말조차 정녕 부족하다. 한 집안에서 나라를 이끌어갈 독립운동가를 이렇게 많이 배출한 것은 세계사에서도 유례가 없는 일이다. 임청각(보물 제182호)은 마크 어빙의 저서,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건축 1001》에 실렸다. 이곳은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적인 건물이자, 꽃보다 진한 사람의 향기, '의로운 기상'이 넘치고 살아있는 곳이다.”

 

이는 어제 출판기념회의 책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에서 <임청각(臨淸閣)>이란 곳이 어떤 곳인가를 잘 설명해 주고 있는 부분이다. 이쯤 되면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산실, 존경이란 말 조자 정녕 부족한 곳'인 임청각의 아들이 쓴 책의 내용이 궁금해지기 마련이다. 석주 이상룡 선생의 증손은 왜 이 책을 썼는가를 알 수 있는 출판기념회였기에 기자도 참석했다. 

 

출판기념회의 첫 순서는 저자인 이항증 선생의 인사말을 듣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A4용지 한 장을 들고나온 저자는 감회가 깊은 듯, 조용조용한 어조로 이 책을 쓰게 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1939년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위로 형님 네 분이 계셨는데 모두 요절하였고, 부친 서거 후에 여동생과 세칭 99간 임청각을 두고 보육원에 보내졌다. 해방된 조국에서 임청각의 아들이 돈이 없어서 공부를 못 할 것이라고는 그 누구도 생각할 수 없었을 것이다. 보육원에서 나오니 상속 재산 한 푼이 없었다. 아버지 없는 조카가 9명이나 되어 혼주석에 8번이나 앉았다. 한숨과 눈물을 숨기느라고 이를 악물고 살아온 이야기가 바로 이 책의 내용이다.”

 

독립운동을 말할 때 안동의 <임청각>을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로 <임청각>이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이곳의 ‘아들’이 집도 절도 없이 보육원에 보내졌으니 그 회한이 어떠했겠는가! 그렇다고 해서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를 개인사로 지레짐작해서는 안 된다.

 

“이 책은 임청각이라는 한 집안의 이야기가 아니다. 정신이 무너지자 책임과 의무까지 내팽개친 한국 근현대사의 아픈 이야기다.”라고 이항증 씨는 <임청각>이 갖는 의미를 분명히 했다.

 

 

이어 축사의 시간을 가졌다. 축사는 최용규 전 국립인천대학교 이사장(현 '독립포럼' 대표), 조세현(조경환 의병장 손자), 이동일 순국선열유족회장 회장, 박찬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관장 순으로 이어졌고 일부 유족들의 인사말이 있었다.

 

“임청각의 아들이면서도 돌보는 이 없이 모진 풍파 속에 내몰렸던 이항증 선생의 삶 그 자체가 대한민국의 아픔으로 다가온다. 그럼에도 온갖 역경을 이겨내고,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성지요, 상징인 임청각의 또 다른 면을 기록으로 남겨 오늘 출판기념회를 열게 된 것을 축하드린다. 임청각의 아들이 떠돌이로 보육원을 전전하면서도 선조의 올곧은 정신을 한순간도 놓지 않고 여기까지 걸어 나오신 그 열정과 집념에 깊은 존경을 표한다. 그동안 임청각의 소유권 문제, 임청각을 관통하는 일제의 철도 부설 철거문제 등 곡절 많은 험난한 시간을 후손과 함께하지 못했던 점 등을 반성한다. ‘지금도 임청각엔 찬바람이 불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큰 관심을 갖겠다”는 요지의 각계 인사의 축사가 이어지자 출판기념회장은  숙연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유언은 보통 재산을 물려주기 위한 것인데, 나는 물려줄 재산이 없어 미안하구나. 광복 후의 기간은 5천년 역사보다 더 많이 변했다. 내가 11살 때 어깨너머로 《명심보감》을 배울 적에 ‘사마온공은 많은 돈을 자손에게 남겨두어도 자손이 다 지킬 수가 없고, 책을 남겨 놓아도 다 읽을 수 없으니 음덕을 쌓는 것이 좋겠다. 라고 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우리는 재산이 있는 줄 몰라서 직접 피해는 없었다. 나는 숙고하다가 장기기증등록(번호 10936, 96.8.26)을 했고 등록증을 항시 소지하고 다닌다. 장기기증도 하나의 문화다. 나는 훌륭한 사람이 아니다. 본받으려 하지 말라. 묘도 쓰지 말고 석주 할아버지 자손 외에는 부고도 하지 말라. 믿는다.”

 

이는 저자가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의 마지막 부분에 아들 영관과 유경에게 쓴 글이다. 책장을 덮으며 나는 갑자기 눈물이 핑 돌았다. 기자 역시 오랫동안 이항증 선생이 걸어온 길을 곁에서 지켜보았기에 더더욱 그런 감정이 솟구쳤다.

 

 

“나는 그 집, 임청각에 들어서면 ‘음수사원(飮水思源)’ 곧 ‘물을 마실 때 그 우물을 판 사람의 공을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 떠오른다. 오백여 년 전 처음으로 임청각을 지었던 분들, 임청각에서 일제의 마수를 미리 알고 국운을 염려하여 가문의 명예보다 나라의 명예를 되찾고자 조상의 신주(神主, 사당에 모셔 두는 죽은 사람의 위패)를 땅에 묻고 만주로 떠났던 분들, 끓어오르는 피를 조국 독립에 오롯이 바쳤던 걸출한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임청각은 그래서 그냥 ‘고택 답사’처럼 둘러봐서는 안 되는 집이다.” 이는 기자가 임청각에 관한 기사를 쓸 때마다 잊지 않고 쓰는 말이다.

 

어제 기자가 임청각의 주인인 이항증 선생이 쓴 책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 출판기념회 소식을 듣고 누구보다도 먼저 달려갔던 것은 그의 ‘파란만장한 삶’이 책 속에 어떻게 녹아있을까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참에,  한가지 밝혀 둘 것이 있다.

 

사실 기자는 1년 전인 2023년 4월 11일, 최진홍 선생(월간 순국 편집위원)으로부터 “이항증 선생이 쓴 일대기를 교정 중인데 한번 읽어 봐달라”는 부탁을 받은 적이 있다. 이 일로 독자의 한 사람으로 누구보다 먼저 이항증 선생의 피땀어린 원고를 읽을 기회를 가졌다. 그러면서 이 책이 나오기까지 음지에서 묵묵히 원고와 씨름하며 오랜 시간 작업해 온 최진홍 선생의 노고가 있었음을 알리고 싶어졌다.

 

"오늘 이 자리에 발걸음을 옮겨 책 출간을 축하해 주러 오신 분들 덕에 제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출판기념회를 마무리하는 시간까지 이항증 선생은 언제나 변함없는 '겸손한 모습'으로 참석자들께 일일이 인사를 건넸다. 크고 화려한 화한은 없었지만, 국난의 시기에 순국의 길을 걸었던 선열들을 추모하는 순국선열유족회 지하 강당에서는 소박하고 조촐한 근래 보기 드문 매우 뜻깊은 출판기념회의 시간을 가졌다. 

 

【책 안내】

석주 이상룡 선생의 증손, 이항증 자전적 에세이, 독립운동의 산실 임청각 이야기

《나는 임청각의 아들이다》 이항증 지음, 디플랜네트워크 출판, 정가 18,000원.

 

 

이윤옥 기자 59yoon@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