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늦습니다

  • 등록 2025.05.02 12:06:45
크게보기

자연을 파괴하는 개발 사업을 줄이고, 생태계 복원 노력을 늘려야
[정운복의 아침시평 257]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시멘트 정글 속, 잊힌 삶의 터전

동식물의 터전인 자연에 시멘트를 바른 것은 인간입니다.

지구는 인간만의 터전이 아닌데 말이죠.

 

길을 걷다가 깨어진 아스팔트 사이를 비집고 피어난 노란 민들레를 봅니다.

그 경이로운 생명력에 감탄하기도 하지만

좁고 아슬아슬한 공간에 뿌리를 내린 건 민들레의 잘못만은 아닐 겁니다.

 

태초에 인류는 자연 속에서 모든 것을 얻고 살았습니다. 맑은 공기, 깨끗한 물, 풍요로운 먹거리는 자연이 인류에게 베푼 선물이었지요. 하지만 산업혁명 이후 인간은 자연을 정복하고 지배하려는 욕망에 사로잡힙니다. 숲은 베어지고, 강은 오염되고, 땅은 훼손됩니다. 문제는 그것이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이지요. 그 결과, 수많은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했고, 지구는 병들어가고 있습니다.

 

 

"과연 인간은 지구의 주인이 될 자격이 있는가?"

인류의 삶을 되짚어보며 이 질문을 심각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높은 산에 올라 문명화된 도시를 내려다보면 온통 콘크리트 천국입니다. 이렇게 시멘트로 뒤덮인 도시는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자연과의 단절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콘크리트 도시는 인간을 고립시키고, 도시의 소음은 자연의 소리를 덮어버렸습니다.

그 결과 자연과의 연결을 잃어버리고, 정신적인 고통을 겪고 있지요.

 

그런데도 우린 마치 지구를 정복한 승리자처럼 행동하며,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자연을 훼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는 인간만을 위한 공간이 아닙니다.

수많은 동식물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의 터전이지요.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대부분의 환경 재앙은 인간의 무분별한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당장 변화해야 합니다. 자연을 파괴하는 개발 사업을 줄이고, 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을 늘려야 합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쓰레기를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는 등 작은 실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지구는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우주에서 유일한 행성입니다.

그러니 지구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자연과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후손들에게 푸른 지구를 물려주기 위해 우린 지구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어야 하지요.

 

내일은 늦습니다.

 

 

정운복 칼럼니스트 jwb11@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